경제·금융

주5일 근무제 파장 최소화를

금융노사가 7월부터 주5일 근무제를 실시키로 합의한 것은 본격적인 주5일 근무시대의 도래를 예고하는 것이다. 사회 및 경제활동의 '피'라고 할 돈을 취급하는 은행 등 금융기관의 토요휴무는 경제전반에 엄청난 파장을 몰고 올 것은 물론 여타 산업의 주5일 근무제 도입을 앞당기는 계기가 될 것으로 보인다. 다소 빠른 감이 없지 않지만 준비를 철저히 해 국민들의 생활 및 경제활동에 지장이 없도록 해야 한다. 이번 금융노사의 합의는 먼저 주5일 근무제의 한 모델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다. 금융노사는 평일 26일에 해당하는 토요일 휴무(연 52회)중 12일은 월차 무임금 휴가로 처리하고 나머지 14일 중 8일은 유급휴가로, 6일은 직급별 차등으로 임금을 보전키로 서로 한발씩 양보했다. 이러한 협상과정은 의견차이와 정치적 고려 등으로 질척거리고 있는 노사정(勞使政)협상에 압력으로 작용할 것이 틀림없다. 대기업 등 일반사업장도 이번 금융권의 합의를 계기로 단체협상 등을 통해 주5일 근무제를 어쩔 수 없이 도입할 것이 예상된다. 은행 등이 휴무에 들어가면 자금결제 등 의 금융업무가 불편해지기 때문에 기업이 정상업무를 보는 데는 많은 어려움이 따른다. 금융권도 고객인 기업 등의 의견을 묻지않고 주5일 근무제 도입을 일방적으로 결정한 만큼 앞으로 예상되는 문제해결을 위해 당국과 사전조정을 충분히 해야 한다. 당장 공과금 납부와 기업들의 어음 및 수표교환 및 결제 등에 혼란이 예상된다. 현금자동인출기(ATM)나 인터넷 벵킹 등을 하면 큰 불편이 없다고 하지만 중년층 이상은 아직도 기계보다는 은행 등을 직접 찾는 것을 선호한다. 공과금 납부일과 대출금 만기일 등이 토요일과 겹치는 경우 월요일로 자동 연장하는 조치도 필요하다. 수출입에선 외국과의 시차문제도 고려해야 할 사항이다. 앞으로 국민들의 생활패턴도 크게 달라질 것으로 예상된다. 여가시간이 많아짐에 따라 관광 레저산업이 발달하고 국민들의 문화적 욕구가 커질 것이다. 이것은 국민들의 생활 중심이 삶의 질 향상으로 바뀌어 간다는 것을 뜻한다. 정부는 이에 대비해 문화인프라 구축 등을 서둘러야 한다. 주5일 근무제는 도입도 중요하지만 국민의 삶의 질 향상 등 도입의 의미를 살리기 위해선 정부의 역할이 중요하다. 노사 및 국민들의 의식도 변해야 한다. 기업주는 주5일 근무제가 세계적 추세임을 감안, 이 제도의 도입으로 임금부담이 늘어나고 생산성 저하만을 걱정할 것이 아니라 이를 기회로 하여 기업활동의 활력소로 활용해야 할 것이다. 따라서 이제도가 생산성 향상으로 이어지도록 뒷바라지 하는 것도 기업주의 몫이다. 국민이나 근로자들도 늘어난 여가시간을 허송하기 보다는 자기발전을 위한 에너지충전시간으로 활용하는 지혜가 필요하다. 이것만이 국가발전을 촉진하고 기업의 생산성 저하 우려를 불식시켜 주5일 근무제 도입의 참뜻을 살릴 수 있다. 특히 가장 크게 우려하고 있는 중소기업에 대한 정책적 배려가 필요하다. document.write(ad_script1); ▲Top | | || |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