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조흥은행 매각 갈수록 꼬인다

조흥은행 매각작업이 갈수록 꼬이고 있다. 정부와 신한금융지주회사간 가격협상이 별다른 진척을 보지 못하고 있는 가운데 제3자 실사에 참여했던 신한회계법인의 한 관계자가 `정부 외압설`을 폭로하고 나서면서 또다시 파장이 일고 있다. 게다가 조흥은행 노조가 대통령과의 면담 및 외압의 진상규명을 요구하면서 29일 총파업을 강행하기로 하는 등 노ㆍ정 갈등도 일촉즉발로 치닫는 분위기다. 전문가들은 이해당사자들의 입장이 이처럼 첨예하게 대립하고 있는 상황에서 협상이 장기화 될 경우 정부와 신한지주는 물론 조흥은행에도 부담이 커질 수 밖에 없다는 점을 들어 조속한 시일 내에 어떤 식으로든 결론을 내야 한다고 지적하고 있다. ◇신한회계법인 간부, 정부 외압설 폭로= 조흥은행 매각을 위한 추가실사에 참여했던 신한회계법인의 한 간부는 26일 한 인터넷 신문과의 인터뷰를 통해 “지난달 7일 오후 신라호텔에서 조흥은행 주식가격을 놓고 정부 관계자로부터 `책임은 내가 질 테니 가격을 낮춰라`는 압력을 받았다”고 폭로했다. 그동안 언론 등을 통해 간간히 외압설을 제기했던 이 관계자는 특히 “재실사를 통한 조흥은행의 최초 주당가치가 주당 최저 7,820원에서 최고 9,658원에 달하는 것으로 나왔다”면서 실사자료의 일부를 공개하기도 했다. 지금까지 회계법인의 실사자료가 외부에 유출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이에 따라 정부의 압력 여부를 떠나 회계법인측이 주당 가치를 최고 6,800원 선으로 낮춘 과정에 대한 논란이 확산될 것으로 보인다. ◇조흥노조 “총파업 강행”= 그동안 매각에 강력 반발해온 조흥은행 노조는 이처럼 구체적인 외압설이 제기되자 29일로 예정된 경고성 총파업을 강행하겠다면서 전의를 다지고 있다. 노조의 한 관계자는 “대통령이 지난 1월 노조와의 면담에서 모두가 신뢰할 수 있는 기관에 실사를 맡겨 독자생존 여부를 판단하자고 해 놓고 이제 와서 매각을 강행하기 위해 가격을 조작하고 있다”며 “전국 영업점에서 시한부 총파업을 벌여 우리의 의지를 보여 줄 것”이라고 말했다. 노조측은 현재 청와대 민원실을 통해 대통령과의 면담 및 TV 공개토론을 요구해 놓은 상태이며 실사과정에서 외압을 넣은 관련자에 대한 엄정한 처벌도 함께 주장하고 있다. ◇정부 “조흥은행 매각 계속 추진”= 정부는 이 같은 외압설 제기에 대해 “일일이 대응할 가치마저 못 느낀다”면서 일축하고 있다. 조흥은행 노조의 총파업과 관련해서도 “매각방침에는 전혀 변화가 없다”며 강행의지를 밝혔다. 예금보험공사의 한 관계자는 “이번에 외압설을 제기한 당사자의 주장은 전혀 사실무근이며 실사를 의뢰한 기관으로서의 단순한 입장표명은 당연한 일”이라며 “외압설을 보도한 해당 언론사에 반론보도를 신청하는 등 강력 대응하겠다”고 말했다. 조윤제 대통령 경제비서관도 이날 기자들과 만나 “대통령은 조흥은행의 독자생존을 약속한 적이 없고 제3의 기관에 독자생존 여부를 평가 받도록 했을 뿐”이라며 “조흥은행 매각은 계속 추진해야 하며 현재 신한지주와 가격문제를 협상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진우,이연선기자 bluedash@sed.co.kr>

관련기사



이연선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