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일본 기업, 경영환경 악화로 해외이전 가속화”

전경련, ‘일본 산업공동화와 시사점 보고서’

일본 내 고비용 경영환경이 고착화되면서 생산기지를 해외로 옮기는 일본 기업이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7일 전국경제인연합회가 발표한 '일본 산업공동화와 시사점' 보고서에 따르면 대지진 이후 일본 기업의 해외이전 증가로 산업공동화가 가속화되고 있다. 이는 엔고, 높은 법인세, 과중한 인건비 부담, 엄격한 환경규제, 자유무역협정(FTA) 체결 지연, 전력수급 불안 등 일본 경영환경의 '6중고(六重苦)'에서 비롯됐다고 보고서는 분석했다. 실제로 일본 제조업의 국내설비투자 대비 해외설비투자 비중은 2009년 42%에서 2010년 55%로 증가했으며 올해는 74.2%까지 늘어날 것으로 예상됐다. 특히 자동차산업의 경우 올해 국내설비투자가 전년 대비 6.3% 늘어난 반면 해외설비투자는 59.5% 증가해 대조를 이뤘다. 또 일본 대기업을 상대로 한 조사에서 전체의 69%는 공급망의 해외진출이 가속화될 것이라고 답했으며, 응답기업의 76.5%는 산업공동화를 우려했다. 전경련은 일본기업 해외이전의 주요 특징으로 기업 핵심기능의 이전 증가, 부품·소재 등 고도기술 제조업의 이전 증가, 일본 내 외국기업의 이탈 등을 꼽았다. 한편 일본 정부는 부품ㆍ소재 등 중간재 제조업의 해외이전이 지속될 경우 2015년 무역적자구조의 경제체제로 전락하고 2020년에는 총 476만명의 고용이 감소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전경련 관계자는 "고비용 경영환경으로 수익여건이 나빠지면 기업은 해외이전을 고려할 수 밖에 없다"며 "현재 일본의 산업공동화를 반면교사로 삼아 기업하기 좋은 환경을 만들어 해외기업을 국내로 끌어들일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