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금융권 골프장 대출액 6조 넘어

부실대출 비율 5% 육박

경기악화로 적자 골프장이 늘어나는 가운데 금융권의 골프장 대출액이 6조원을 넘는 것으로 나타났다. 금융감독원은 금융회사들의 골프장 대출의 부실이 심상치 않다고 보고 이에 대한 정밀 실태조사에 들어갔다.

7일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김재경 새누리당 의원이 금융감독원으로부터 받은 국정감사 자료에 따르면 지난 6월 말 기준으로 국내 금융기관의 골프장 대출잔액은 6조4,000억원에 이른다.

이 중 시중은행의 대출잔액이 5조7,000억원으로 전체의 90%가량을 차지했고 저축은행 4,473억원, 보험사 1,659억원, 상호금융 1,198억원 순이었다.


시중은행 중에는 우리은행이 1조원으로 가장 많았고 그 뒤를 농협(6,960억원)과 국민은행(5,468억원)이 이었다.

관련기사



3개월 이상 연체되거나 담보가치가 하락해 부실대출로 볼 수 있는 고정이하여신비율은 전체 골프장 대출의 4.98%에 달했다. 시중은행 전체 대출의 고정이하여신비율은 보통 1%대다.

지난해 기준으로 전국 골프장 426곳 가운데 344곳이 은행 대출을 끼고 있었다. 이 중 적자 골프장은 2009년 152곳에서 지난해 174곳으로 늘었다.

대출 골프장의 당기순이익 총액은 2009년 1,453억원에서 2010년 2,556억원으로 크게 늘었지만 지난해에는 2,677억원에 그쳤다.

김능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