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北, 핵 카드 다시 꺼내나

"함북 풍계리서 3차 핵실험 징후" "경수로 건설" 주장 잇달아<br>정부 신중론속 "상황 주시"


북한이 잠시 서랍 속에 넣어두었던 핵(核) 카드를 다시 꺼내려는 것일까. 핵과 관련한 북한의 최근 행보가 심상치 않다. 함경북도 길주군 풍계리에서 세 번째 핵실험을 실시할 가능성이 있다는 외신의 보도가 나오고 있는데다 영변지역에 실험용 경수로를 건설하고 있다는 주장까지 더해지고 있기 때문. 이 같은 일련의 흐름의 전개 과정에 따라 핵을 둘러싼 한반도 정치지형이 또다시 소용돌이 속으로 빠질 수 있다. 일단 정부는 "상황을 예의주시하고 있다"며 신중한 태도를 보이고 있다. ◇日 외신 "핵실험 가능성 있다"…정부 "증거 없다"=일본의 산케이신문은 17일 북한이 함경북도 길주군 풍계리에서 세 번째 핵심험을 실시할 가능성이 있다고 영국의 군사정보회사인 IHS제인스의 위성사진 분석을 인용해 보도했다. 이 신문에 따르면 제인스의 전문가가 미국 디지털글로브사의 위성사진을 분석한 결과 지난달 16일에 지하 핵실험장 주변에서 차량의 이동과 시설의 변화 등을 보여주는 모습을 확인했고 갱도를 파면서 나온 토석류가 폭 12m에 걸쳐 쌓여 있는 것도 파악했다. 지난달 27일에는 핵실험장의 남쪽 150m 지점에 새롭게 굴착한 토석류가 3,000㎥ 쌓여 있는 것과 핵실험장 북쪽 180m 지점의 2개소에서 지면을 굴착한 흔적도 확인했다. 이에 대해 정부의 한 당국자는 "북한이 3차 핵실험을 준비하고 있다는 구체적인 증거는 확인된 바 없다"며 "풍계리 일대를 포함해 항상 북한 핵시설 관련 동향을 예의주시해오고 있으며 관련국들과도 긴밀히 정보를 공유하고 있다"고 말했다. ◇경수로 건설?...외교소식통 '北 기술력에 의문'=여기에 북한이 실험용 경수로를 영변지역에 건설하고 있다고 최근 방북 한 잭 프리처드 한미경제연구소(KEI) 소장이 밝혀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프리처드 소장은 지난 16일 워싱턴DC에서 한국 특파원들과 만나 "북한은 오는 2012년 완공을 목표로 영변 지역에 100㎿ 규모의 실험용 경수로 건설을 추진 중"이라고 밝혔다. 그러나 복수의 외교소식통은 그 실체에 의문을 표하고 "북한의 기술수준이나 정황으로 볼 때 신포 경수로의 공정기법을 역으로 활용했을 가능성이 있다"고 추측했다. 신포 경수로는 한반도에너지개발기구(KEDO)가 함경남도 금호지구 신포에 건설하다가 2003년 중단된 것이다. 다만 한 소식통은 "신포 경수로는 기초공사 단계에서 마무리됐기 때문에 미국이 보유한 핵심기술이나 부품이 들어가 있지 않다"며 "현재로서는 북한이 경수로 건설능력을 갖고 있다고 보기 힘들다"고 강조했다. 상황이 미묘하게 돌아가자 북핵 6자회담 우리 측 수석대표인 위성락 외교통상부 한반도평화교섭본부장이 18일 하루 일정으로 일본을 방문해 일본 측 6자회담 수석대표인 사이키 아키타카(齊木昭隆) 아시아ㆍ대양주 국장 등을 면담하고 북핵과 관련한 협의를 가질 예정이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