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민주노총 총파업 철회

노-정 발전협상 극적 타결… 산업피해 모면 >>관련기사 정부와 민주노총이 2일 발전노조의 파업을 중단하기로 극적으로 합의함에 따라 지난 2월25일 민영화 철회를 요구하며 시작됐던 발전노조 파업이 37일만에 사실상 막을 내렸다. 이에 따라 이날 오후 1시부터 돌입키로 했던 민주노총의 2차 연대 총파업은 철회돼 당초 우려되던 산업계의 피해는 피할 수 있게 됐다. 김원배 노동부 기획관리실장 등 정부측 관계자와 이홍우 민주노총 사무총장 등 노측은 전날 밤샘 협상에 이어 이날 오전 11시께부터 서울 소공동 롯데호텔에서 막판 협상을 벌여 오후 1시께 핵심현안에 최종 합의했다. 노ㆍ정은 ▲ 노조는 지난 8일 중앙노동위원회의 중재재정을 존중해 발전소 민영화와 관련한 교섭은 논의대상에서 제외하고 ▲ 회사는 조합원에 대한 민ㆍ형사상의 책임과 징계가 적정한 수준에서 해결되도록 당국에 건의하며 ▲ 노조는 파업을 중단하고 즉각 회사에 복귀한다는 등 3개항의 합의문을 놓고 이날 오후 4시 현재 막판 조율작업을 벌이고 있다. 노ㆍ정은 이와 함께 이번 파업으로 인해 국민에게 끼친 피해에 대해 사과하고 앞으로 법과 원칙을 준수하고 발전산업의 미래를 위해 공동 노력하기로 했다. 전날 밤샘 협상에서 정부측과 실랑이를 벌였던 노조측은 이날 오전 "중앙노동위원회의 중재재정을 존중해 발전회사 매각문제를 논의대상에서 제외한다"는 수정안을 제시, 정부가 이를 받아들임으로써 발전파업은 37일만에 종지부를 찍었다. 이에 따라 이날 오후 파업에 들어갈 예정이었던 현대와 기아ㆍ쌍용 자동차와 서울대병원, 한양대병원 등 390여 민주노총 소속 노조들도 파업을 풀고 직장으로 복귀했다. 현대자동차 노조는 이날 1시께 단위사업장별 약식집회에서 공식 파업 철회를 선언하고 조합원들의 작업장 복귀를 요청했고 회사측도 이날 점심시간 후 공장을 이미 빠져나간 현장 근로자들에게 조업복귀 명령을 내리고 조ㆍ반장을 통한 비상 연락망을 동원, 정상가동에 힘썼다. 또 한진중공업 울산조선소 250여명도 이날 오후 민노총 파업철회 소식이 전해지자 정상조업에 임하는 등 울산지역 9개 업체 노조원들도 파업계획을 전면 취소했다. 오철수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