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정책

금융공기업 기관장 연봉 '들썩'

金금융위원장, 산은지주 회장 급여 인상 언급<br>형평성 문제로 수출입銀 등도 올릴 가능성 높아

금융공기업의 기관장 연봉이 들썩이고 있다. 김석동 금융위원장이 강만수 국가경쟁력강화위원장을 산은지주 회장으로 제청하면서 연봉 인상 가능성을 내비쳤기 때문이다. 업계에서는 산은지주 회장의 급여만 올려주기에는 정치적 부담이 커 기업은행이나 수출입은행 등 다른 금융공기업 최고경영자(CEO)의 연봉을 동시에 올릴 가능성이 높다고 보고 있다. 김 위원장의 따뜻한 배려가 강 위원장으로만 향한다면 실세 선배에 대한 보은 성격이라는 지적을 피할 수 없기 때문이다. 다른 금융공기업도 비슷한 생각이다. 금융공기업의 한 관계자는 11일 "시장과 경쟁한다는 측면에서 보면 기업은행 등이 더 돈을 많이 받아야 하는 것 아니냐"며 "산은은 아직 수신이나 가계 대출 등에서 시중은행들과 경쟁하는 곳은 아니다"라고 말했다. 문제는 금융공기업 수장들만 임금을 올릴 경우 다른 공공기관과의 형평성 문제가 제기된다는 점이다. 금융위기 이후 공공기관은 급여삭감이 대세였고 금융공기업의 경우 일반 공공기관보다 급여를 많이 받지 않느냐는 게 일반적인 정서다. 금융공기업 기관장의 급여 인상이 시중은행으로 확산될 우려도 있다. 금융위기 이후 금융지주회장들과 시중은행장들은 약 20% 안팎의 급여반납을 해왔다. 그러나 금융공기업 수장의 급여가 인상되면 자연스레 연봉을 올려줄 수밖에 없다는 게 금융권 관계자들의 전언이다. 더군다나 신입행원 임금의 20% 일괄삭감 정책이 아직 복구되지 않은 상황에서 기관장의 연봉만 올려주는 것은 문제라는 지적이 나온다. 이 때문에 산은지주 회장의 급여 인상은 실현되기 어려울 것이라는 분석이 많다. 올해 예산은 지난해에 이미 편성돼 있어 급여를 올리더라도 내년에나 가능한데 총선(오는 2012년 4월)을 앞둔 상황에서 정치적 부담을 질 수 있는 일을 하기는 쉽지 않다는 얘기다. 금융공기업 기관장 등의 임금을 줄줄이 인상했다가는 여론의 뭇매를 맞을 수 있어서다. 금융권의 한 고위관계자는 "산은지주 회장의 급여를 올리려면 다른 금융공기업도 비슷한 수준으로 인상해야 하고 이는 금융권 전체로 확산될 수밖에 없다"며 "그동안 정책 결정의 책임자로서 공공기관의 임금삭감을 유도한 게 강 위원장인데 산은지주 회장의 급여를 올린다면 앞뒤가 안 맞는 결정이 될 것"이라고 지적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