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세계적 인류학자 레비스트로스 타계

'현대 문화인류학의 아버지'로 불리는 프랑스 인류학자 클로드 레비스트로스(100)가 타계했다. 아카데미 프랑세즈의 최고 연장자 회원이었던 레비스트로스는 구조주의의 선구자로 프랑스에서 장 폴 사르트르 이후 최고의 지성으로 평가되고 있는 인물이다. 프랑스 학술원인 아카데미 프랑세즈는 3일(현지시간) 그의 사망 사실을 발표하면서 사망 원인에 대해서는 구체적으로 공개하지 않았다. 지난 1908년 벨기에의 브뤼셀에서 태어난 고인은 1935년 브라질 상파울루대의 교수를 역임할 당시 남아메리카 오지를 탐험한 경험을 토대로 문화와 인간의 보편성에 대한 통찰을 담고 있는 문명비평서인 '슬픈 열대(1955년)'를 발표했다. 이후 '구조인류학(1958년)' '야생의 사고(1962년)' 등의 저서를 통해 인류학에 큰 공헌을 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콜레주드프랑스의 교수를 역임하다 1982년 퇴임했던 고인은 1993년 '보기 듣기 읽기'라는 비평집을 내고 대외활동을 중단한 채 파리 자택에서 조용히 지내왔다. 그는 지난해 11월28일 100세 생일을 맞았으며 당시 프랑스에서는 그의 탄생을 기념하는 각종 전시회와 학술대회가 열렸으며 케브랑리박물관에는 그가 기증한 1,000여점의 물품을 전시하는 '레비스트로스관'이 문을 열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