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은행 '벌떼식' 자산운용"

환란이후 기업대출 줄이고 안전위주 가계·담보대출만 치중<br>한은 보고서…균형발전·금융시스템 안정성 위협


"은행 '벌떼식' 자산운용" 환란이후 기업대출 줄이고 안전위주 가계·담보대출만 치중한은 보고서…균형발전·금융시스템 안정성 위협 김민열기자 mykim@sed.co.kr 국내 은행들이 외환위기 이후에 상호 영업전략을 모방하면서 안전성을 위주로 한 ‘벌떼식’ 자산운용에 치중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 결과 시중자금의 ‘쏠림 현상’이 심화되고 있으며 나아가 국가균형 발전과 금융시스템의 안정성도 위협당할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됐다. 한국은행이 28일 발표한 ‘은행의 자산운용행태 변화와 향후 과제’ 보고서에 따르면 국내 은행들이 영업전략을 서로 모방하는 군집적 행태를 보인 결과 가계대출은 일제히 확대되고 기업대출은 정체현상을 보였다. 지난 2001년 이후 대다수 은행의 가계대출 증가율이 총자산 증가율의 1.4배를 상회했으며 기업대출 증가율이 가계대출 증가율을 웃돈 은행은 한 군데도 없었다. 그 결과 은행권 전체 자산에서 가계대출 비중은 98년 말 11%에서 올해 6월 말 32.1%로 늘어난 반면 기업대출은 37.8%에서 31.9%로 떨어졌다. 특히 기업대출 가운데 2001년부터 2년여 동안 급격히 늘어났던 개인사업자 대출은 2003년부터는 대다수 은행들이 약속이나 한 듯이 급격히 축소한 것도 ‘모방운용’의 대표적인 사례로 분석됐다. 은행들은 환란 이후 안전성이 높은 담보부대출에 주력하면서 전체 대출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98년 말 36.9%에서 올 상반기 말에는 48.7%에 달해 신용대출(43.2%)을 크게 앞질렀다. 대출 대상별로도 가계ㆍ대기업 대출의 평균만기가 2000년 말 15.1개월에서 올 상반기 말 20.2개월로 늘어난 반면 중소기업대출은 같은 기간 12.7개월에서 10.1개월로 오히려 줄어들었다. 채권투자에서도 안전성 위주의 자산운용 행태가 여지없이 드러났다. 99년 전체의 30%에도 못 미쳤던 안전채권 비중(정부보증채 제외)이 올들어 40%를 훌쩍 넘어선 반면 회사채 보유규모는 올 상반기 말 5조5,000억원으로 2001년 말의 절반 수준으로 줄어들었다. 박영근 한은 금융안정분석국 은행연구팀 차장은 “은행들의 자산운용 쏠림 현상은 은행 경영목표에는 부합할 수 있을지 모르겠지만 국가경제의 균형발전과 금융시스템의 안정성에는 부정적인 경향을 미친다”며 “은행들의 자산운용 위험을 분산하고 새로운 수익원 개발을 적극 유도할 수 있는 정책대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입력시간 : 2005/11/28 18:41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