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일반

주상복합 주거 비율 90%까지 확대 상가시장 반사익 기대

신규 공급물량 축소로 입점후 공실부담 줄어…대출규제도 없어 매력


11ㆍ15대책으로 상가시장의 투자 여건이 다소 개선될 것이라는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20일 업계에 따르면 11ㆍ15대책의 주상복합 아파트 비율 확대가 분양률이 저조하거나 입점 후에도 공실률이 높아 고심하는 상가시장에 다소 숨통을 터 줄 것으로 보인다. 은행 대출 규제에서도 제외되고 내년부터 다주택자에 대한 세금 부담이 늘어나는 것도 상가시장에는 호재로 작용할 전망이다. 지난 15일 발표된 대책 중 정부는 주상복합의 주거 비율을 지자체와 합의해 현행 70%에서 90%수준까지 확대하겠다고 밝혔다. 현재 유동인구가 풍부한 역세권의 대형 브랜드 주상복합의 경우도 상당수 주상복합 상가들은 심각한 공실률로 몸살을 앓고 있다. 일부는 점포 수가 많아 서로간의 경쟁으로 수익성이 악화되는 상황이다. 하지만 향후 상가 비율이 줄어든다면 이런 부담을 크게 줄일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대출 규제가 현재는 아파트에만 집중돼 은행권이 상가를 포함한 기타 상품으로 대출업무를 확대할 가능성도 높다. 상가 투자자는 금리 여건을 꼼꼼히 따져 이를 활용할 경우 현재보다 적은 돈으로 수익성을 살릴 수 있다. 박대원 상가정보연구소 연구원은 “엄밀히 말해 상가시장은 정부 정책보다 경기회복 등 시장 상황의 영향을 많이 받는다”면서도 “이번 대책으로 세금부담이 적고 안정적인 임대수익과 시세차익의 효과를 볼 수 있는 상가 투자의 매력이 높아진 것은 사실이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김광수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