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사외칼럼

[로터리/6월 28일] 벤처여 부활하라

중소기업청에 따르면 올 5월 말 현재 국내 벤처기업 숫자는 2만500여개다. 지난 1998년 벤처기업 확인제도가 처음 도입됐을 당시의 2,000여개와 비교하면 12년 만에 10배 이상 증가한 수치다. 주목할 만한 점은 전체 기업체에서 벤처기업이 차지하는 숫자는 0.6%에 불과하지만 국내총생산(GDP)의 8%, 고용에서는 3.2%를 차지하고 있다는 것이다. 그만큼 벤처업체들이 많아지면 국내 경제에 많은 도움이 된다는 얘기다. 그렇다면 어떻게 다시 한번 벤처붐을 일으킬 수 있을까. 우선 젊은이들이 혁신 기술에 기반한 신성장동력 분야의 아이템으로 창업해야 한다. 대기업 출신 중간 간부가 회사를 나와 세우는 대기업 하청 공장형태의 제조업 벤처는 대기업과 중소기업과의 수직적 종속관계만 고착화시킬 뿐이다. 과거 NHN과 엔씨소프트 등과 같은 1세대 벤처성공 사례에서 볼 수 있듯 소비자들에게 대기업들이 주지 못했던 이익을 제공할 수 있어야 한다. 최근 발간된 필립 코틀러의 저서 '노도와 같은 변화의 트렌드 마켓 3.0'에 의하면 기업은 소비자의 영혼까지 감동시켜 고객이 새롭게 제품을 생산해 낼 수 있는 수준까지 진화해야 한다고 한다. 그만큼 벤처기업가들도 혁신이 필요하다. 벤처기업을 지원하는 벤처캐피털도 투자패턴을 바꿔야 한다. 대기업에 대한 납품가능 여부를 투자판단의 기준으로 삼는 것보다는 소프트웨어(SW) 등 혁신적인 기술 및 비즈니스 모델에 기반한 성공 가능성이 지원기준이 돼야 한다. 가능성은 충분하지만 검증되지 않은 벤처에 대한 과감한 투자가 가능해질 때 벤처업계가 살아날 수 있다. 벤처란 원래 성공보다는 실패하는 기업이 더 많은 법이다. 특히 하나의 성공한 벤처기업이 실패한 투자자금을 보완해 결과적으로 국가 경제에 도움이 되는 구조라는 점을 감안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벤처창업의 걸림돌이 되고 있는 연대보증제도에 대한 개선이 필요하다. 정부는 올 들어 기술보증기금의 보증을 받은 벤처기업에 대해 기관투자가의 투자를 유치할 경우 연대보증 부담을 완화했다. 하지만 미처 파악하지 못한 현장의 문제점을 심층 인터뷰 등을 통해 지속적으로 개선하려는 움직임이 절실하다. 벤처기업을 창업하는 젊은 기업가와 벤처캐피털ㆍ정책당국이 머리를 맞대고 진지한 논의를 지속해야 한다. 이를 통해 아직 금융위기의 수렁에서 완전히 벗어나지 못한 국가경제를 살리고 취업난으로 힘들어하는 젊은 세대에게 희망을 줘야 할 것이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