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민노총 총파업 일정 왜 앞당겼나

'촛불민심' 발판 삼아… 夏鬪동력 강화 노려<br>"현장요구와 동떨어진 정치투쟁" 일부 볼멘소리도

민노총이 당초 예상보다 앞당겨 ‘쇠고기 파업’ 카드를 꺼내든 것은 촛불집회로 상징되는 국민정서를 발판으로 삼아 하반기 투쟁동력을 확고히 다지겠다는 의도로 해석된다. 또 최근 국민들 사이에 일고 있는 반노조 정서를 둔화시키고 내부 조합원의 이탈을 막기 위한 것이라는 관측도 제기되고 있다. 하지만 일선 조합원들의 당면과제를 무시하고 쇠고기 수입반대를 내건 정치투쟁이 적극적인 호응을 이끌어낼지도 의문이거니와 개별 단위조합의 투쟁일정과 어긋난다는 현장의 볼멘 소리도 나오고 있다. 가뜩이나 경기가 어려운 상황에서 현장요구와 동떨어진 지도부만의 한가한 투쟁이라는 비판도 예상되고 있다. 민노총은 당초 6월말~7월초에 공공부문 사유화 저지, 한반도 대운하 백지화, 한미FTA 중단, 비정규직법 개정 등을 내걸고 총파업을 비롯 총력투쟁을 벌이기로 했었다. 그러나 미국산 쇠고기 수입 문제와 관련한 상황이 급변하면서 계획한 당초 총파업 일정을 앞당겨야 한다는 주장에 힘이 실리기 시작했다. 지난 4일 열린 긴급 중앙집행부 회의에서도 총파업 실시여부를 놓고 격론을 벌이는 등 최종 결정에 이르기까지 내부적으로 상당한 진통을 겪은 것으로 전해졌다. 이석행 민노총 위원장은 “총파업 실시여부와 시기를 놓고 난상토론이 벌어졌다”면서 “총파업 투표를 비롯한 일련의 투쟁 계획은 단지 선언적 의미가 아니라 재협상을 관철해내기 위한 실질적 의미를 담고 있다”고 강조했다. 민노총이 파업에 들어간다면 경유값 폭등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화물차ㆍ덤프트럭ㆍ레미콘 운전기사들이 핵심세력으로 부상할 전망이다. 건설노조는 이미 16일부터 총파업에 들어가기로 결의한 상태이고, 화물연대는 6일 확대간부회의를 통해 총파업 여부를 결정한다. 화물연대나 건설노조의 파업이 민노총의 총파업과 맞물릴 경우 상당한 폭발력을 지닐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오고 있다. 민노총의 한 관계자는 “국민의 80%가 반대하는 것에 민노총이 동조하는 것인데 당연히 지지할 것”이라며 “조합원들도 미국산 쇠고기 수입에 관한한 국민 정서와 다르지 않다”며 자신감을 보였다. 하지만 노동현안이 아닌 정치ㆍ사회적 이슈를 내건 정치파업에 대해 국민과 조합원들이 얼마나 지지와 참여율을 보일지는 미지수다. 현정부에 대한 지지율이 크게 떨어지기는 했지만 국민들은 경제 살리기에 대한 기대감은 여전히 높은 편이다. 특히 고유가와 물가상승으로 서민가계가 크게 위축되고 있는 상황이어서 정치ㆍ사회적 이슈를 내건 노조의 파업에 대해선 비판적인 여론이 형성될 수도 있기 때문이다. 지도부 일각에서도 이 같은 점을 가장 우려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따라서 정치파업에 대해 부정적인 일부 사업장 노조와 조합원들을 얼마나 참여시키느냐와 필수유지업무제도에 발목이 묶여있는 필수공익사업장의 파업 동참 여부가 총파업의 파괴력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노조 관계자는 “촛불집회가 국민적 공감을 얻고 있는 것은 사실이지만 총파업으로 연결하기엔 무리가 많다는 조합원들의 견해도 만만치 않다”면서 “지금 상황에선 임금이나 근로조건 투쟁에 주력해야 하는 게 아니냐는 주장도 나오고 있다”고 전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