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부동산일반

서울 저층 거주민 55.5% "현 재개발 방식에 문제"

서울시내 단독ㆍ다가구ㆍ연립 주택 거주자의 절반 이상이 현행 재개발ㆍ재건축 사업 방식에 문제가 있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시는 지난해 6월부터 두 달여간 저층 주거지에 사는 1만 가구 주민을 대상으로 개별 면접 조사를 한 결과 55.6%의 응답자가 현재의 도시정비방식을 부정적으로 인식하는 것으로 조사됐다고 28일 발표했다. 도시정비 방식에 부정적인 이유로는 '서민이 살 수 있는 저렴한 주택이 감소하기 때문'이라는 응답이 40.5%로 가장 많았고 ▦현재 살고 있는 주민들을 위한 개발이 아니어서가 27.9% ▦아파트 건설 위주의 도시 모습은 문제가 많기 때문이 20.2% 등으로 조사됐다. 이들이 저층 주거지에 사는 이유는 집값(임대료)이 저렴하거나 직장이 가깝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됐다. 자가 소유의 경우 ▦집값이 저렴해서라는 응답이 23.9%를 차지했고 ▦직장이 가까워서 21.1% ▦교통이 편리해서 14.5%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전ㆍ월세 등 임대로 사는 주민은 ▦임대료가 저렴해서가 34.2% ▦직장 거리가 가까워서는 25.3% ▦교통이 편리해서 14.6% 등으로 조사됐다. 또 응답자의 48.6%가 정비사업을 할 경우 획일적으로 아파트를 짓는 것보다 다양한 주택을 혼합하는 것을 희망했으며 공공임대주택을 단지 내(67%)나 같은 동(57%)에 혼합 배치하는 것에 대해서도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변 환경 중 개선이 필요한 분야로는 전체의 26.6%가 산책로 시설을 꼽았고 ▦주차장 시설 24.1% ▦보안 방범 시설 13.0% ▦도로 개선 10.3% 순으로 답했다. 정비사업 이후 재입주 의사는 자가 거주자가 75%, 임대 거주자가 61%로 나타났다. 정비사업 후 선호하는 아파트를 구매한다면 자가 거주자는 평균 2억6,000만원, 임대 거주자는 평균 2억3,000만원의 추가 비용이 필요할 것으로 추산됐다. 서울시의 한 관계자는 "앞으로 주거정비사업을 진행할 때 주민들의 요구와 실태를 적극적으로 반영해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