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은행 '히딩크式 인사' 확산

나이·직급 관행 파괴… 실적·능력위주 발탁나이보다는 능력, 과거의 실적보다는 미래의 가능성을 중요시하는 '히딩크식' 인사가 은행권에 확산되고 있다. 24일 금융계에 따르면 조흥은행은 조직활성화와 책임경영체제 확립을 위해 본부부서장, RM(기업금융전담점포) 지점장, 신설 점포장 등에 대한 공모제를 실시하기로 했다. 조흥은행은 그동안 3급 이상으로 제한하던 공모대상직급을 4급 이상 전 직원에게 개방, 각자 작성한 경영계획서를 평가해 올 하반기 정기인사에 반영할 예정이다. 조흥은행 관계자는 "공모제는 인사담당 부서에서도 미처 파악하지 못한 직원들의 능력과 적성을 찾아낼 수 있는 장점이 있다"며 "조직 활성화와 책임경영에도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외환은행도 지난 21일 1∼2급 몫인 본점 주요 부서장 14명을 교체하면서 9명은 40대의 3급직원을 기용해 나이와 직급 위주의 기존 인사관행을 한꺼번에 파괴했다. 또 일선 영업을 지휘하며 본부와 영업점의 가교역할을 맡는 지역본부장에도 연공서열과 관계없이 적이 우수한 젊은 직원을 발탁했다. 이에 앞서 국민은행은 지난 3월 임명한 262명의 점포장 가운데 여성 31명과 대리급(4급)직원 60명을 발탁한 데 이어 김정태 국민은행장이 오는 9월 전산통합 이후 옛 국민ㆍ주택은행 시절 직원들의 인사기록을 없애고 실적과 능력에 따른 인사를 실시하겠다고 수차례 공언하기도 했다. 이밖에 산업은행이 '인사혁신 태스크 포스팀'을 만들어 직급 중심의 현행 승진체계를 직위 중심으로 전환하는 방안을 추진하는 등 직급제 자체를 폐지하고 새로운 인사시스템을 도입하는 은행도 늘고 있다. 김민열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