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고수익·리스크 줄어 '일석이조'

ELD, 원금 100% 보장… 정기예금과 비슷<br>공격적 투자자는 ELS·ELF 관심 가질만

은행 이자를 뛰어넘는 수익성은 갖추면서도 안정성을 동시에 만족시켜줄 상품은 없을까. 전문가들은 우선 높은 수익을 위해서는 반드시 주식관련 간접투자 상품에 투자해야 한다고 조언한다. 최근 주가지수가 많이 올랐지만 장기적으로 꾸준한 상승세가 예상되므로 투자 유망하다는 분석이다. 또 직접투자보다는 전문가들이 운용하는 간접투자 상품을 선택하는 것이 손실 위험을 줄여 안정적이라는 설명이다. 현재 금융업계에는 주가지수 또는 개별종목에 연계된 간접투자 상품이 다양하게 출시돼 있다. 이 상품들은 주식시장으로부터 기대되는 투자 수익과 함께 원금을 안전하게 지킬 수 있게 구성된 상품이 대부분이다. 그러나 그 종류가 다양하고 일부 상품의 경우는 원금 손실이 발생할 수 있다는 점에서 신중한 선택이 필요하다. ◇어떤 상품들이 있나=현재 판매중인 주식관련 간접투자상품으로는 주가지수연동정기예금(ELDㆍEquity Linked Deposit), 주가지수연계증권(ELSㆍ Equity Linked Securities), 그리고 주가지수연계펀드(ELFㆍ Equity Linked Fund) 등이 있다. 세가지 모두 주가지수에 연계해 수익을 낸다는 점에서 기본 구조는 비슷한 상품이다. 그러나 ELD는 원금이 100% 보장 되는 정기예금에 가까우며, ELS나 ELF는 원금이 보장되지 않는 실적 배당형 상품이다. 그러나 ELS나 ELF 상품 중에서도 원금이 최대한 보존될 수 있도록 만든 원금보존 추구형 상품도 있으며, 원금 손실이 일부 날 가능성이 있지만 대신 고수익을 기대할 수 있도록 구성된 상품들도 있다. 최근에는 주가지수 보다 삼성전자 등 개별 우량 종목의 주가에 연계돼 투자수익을 내는 상품들이 다수 나와 있다. 자신의 투자성향에 따라 정기예금 금리 외에 1~2%포인트 정도의 추가수익을 기대한다면 ELD를, 어느 정도 위험을 감수한다면 ELS나 ELF에 투자해 고수익에 도전할 수 있다. ◇이렇게 투자하세요=주가지수 연계상품의 성공투자를 위한 핵심 포인트는 상품의 가입 만기와 이 기간 동안의 주가흐름에 대한 예측력이다. 주가의 움직임에 따라 수익률이 크게 달라지기 때문이다. ELD의 경우 원금은 100% 보장되는 안전한 상품이지만 수익이 전혀 나지 않을 수도 있으며 ELSㆍELF의 경우 연 10~20%에 가까운 고수익을 기록한 상품도 나왔지만 시장상황에 따라 원금 손실이 날 수도 있다. 즉 가입 기간 동안 수익률 도달 여부, 원금 보장 정도, 환매 수수료 등을 꼼꼼히 따져보고 가입해야 한다. 주가지수연계 상품은 형태에 따라 상승형, 하락형, 양방향형 등으로 나뉜다. 향후 주식시장이 강세를 보일 것으로 예상된다면 상승형, 현재 주가 수준이 너무 높다고 느낀다면 하락형, 상승 또는 하락의 일정 범위를 예상할 수 있다면 양방향형을 선택하면 된다. 가입기간도 6개월ㆍ1년ㆍ2년ㆍ3년 이상으로 다양하다. 증시 상황을 장기적으로 보고 가입할 지, 단기적인 시장흐름을 보고 투자할 지는 스스로 판단해야 한다. 또 주가지수가 아닌 삼성전자, 현대차 등 개별 우량 종목의 주가가 시장 평균치인 종합주가지수 보다 상승 폭이 높을 것으로 전망한다면 이들 종목을 기초자산으로 구성한 ELS나 ELF에 가입하면 된다. 또 국내 증시보다 해외증시가 더 유망하다고 판단되면 일본 니케이지수 등 해외 지수에 투자하는 주가연계 상품도 눈 여겨 볼만하다. 한편 간접투자상품에 가입할 때 투자자들이 꼭 챙겨봐야 하는 것이 있다. 우선 자신의 투자성향을 먼저 파악하라는 것이다. 원금 보존 여부를 제일 중요시하는 보수적인 투자자는 ELD, 좀 더 공격적인 투자자는 ELS나 ELF를 권할만하다. 또 모든 자산을 주가관련 간접투자상품에 투자하기보다는 정기예금이나 적금과 간접투자상품 등으로 분산 투자하는 것도 반드시 필요하다.

관련기사



김정곤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