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체감물가 들썩…마음 못놓는다

신학기 등록금 납입시기 택시요금 인상등도 대기…물가억제 목표 3월이 고비


잠시 마음을 놓았던 물가관리에도 더 신경을 써야 할 상황이다. 불과 2개월이지만 체감물가가 오름세를 보이기 시작해 서민가계에 부담을 줄 것으로 우려되고 있기 때문이다. 2월 소비자물가 동향을 보면 수치상으로는 ‘3%대 초반’이란 안정적인 수치를 보이고 있지만 피부로 느낀 물가는 높았던 것으로 분석된다. 설 명절로 인한 농축수산물 가격 상승으로 신선식품지수가 7.8% 나 올랐고 국제유가 상승으로 공업제품 등도 0.4% 상승했다. 이들 요인을 제외한 ‘농산물 및 석유류 제외지수’도 전년동월대비 3.2% 상승, 지난해 11월 이후 최고치를 보였다. 올해 초 공공요금 인상에 따라 오른 전철료(26.9%) 시내버스료(일반 17.2%) 등이 부담이 된 탓으로 해석된다. 물가당국 역시 이 같은 불안요인에 대비할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당장 공공요금 추가 인하가 고려된다. 정부는 1월에 이어 이달에도 소매가격으로 8.5% 가량의 가스요금을 내릴 방침이다. 전기요금의 경우 산업자원부가 외부용역을 통해 5, 6월께 인상을 검토할 방침이지만 물가인상을 우려한 재정경제부는 ‘오히려 더 내려야 한다’는 입장이다. 여기에 정부는 올 상반기 중으로 전기, 전화, TV시청료 등 18개 공공요금의 산정방식을 개선, 공기업의 실적이 양호할 경우 요금인상폭을 줄일 계획을 내놓았다. 휴대폰 요금 추가인하도 검토된다. 재경부 김봉익 물가정책과장은 “이동통신업체들이 매출, 영업이익의 상당부분은 설비투자가 아닌 판촉비에 치중하고 있다”며 “아직까지도 충분한 인하여력이 있다”고 밝혔다. 휴대폰 요금 등은 소비자물가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2%이상 으로 단일품목으로 상당한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3월 물가 역시 수치상으로는 일단 안정세를 보일 것으로 전망되지만 안심하기는 이른 상황이다. 재경부는 지난해 3월 폭설, 조류독감 등으로 물가 큰 폭 상승했다며 3월 물가에서 ‘기저효과’를 누릴 수 있을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그러나 새 학기 등록금 납입시기에 유가상승, 농축수산물 가격 인상 등의 요인이 줄을 잇고 있다. 여기에 서울시를 비롯, 7대 주요도시에서 택시요금 인상을 추진하고 있어 향후 정부의 물가억제 목표에 고비가 될 수 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