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일반

中 '물류 통제'… 수출입업체 비상

올림픽 안전 이유로 화학제품·가공식품 통관 강화

중국이 베이징 올림픽의 안전개최를 위해 ‘물류(物流) 통제’를 강화, 산업 전반에 피해가 확산되고 있다. 특히 한국 업체들은 가공식품에 대한 통관이 까다로워지면서 중국에 대한 농식품 수출에 큰 차질을 빚고 있다. 중국은 여기에다 올림픽 기간중 사고가 발생할 경우 환경오염이 우려되는 위험물질에 대해서는 운송을 아예 차단할 계획이어서 물류대란도 우려된다. 3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중국 해관은 오는 10일 이후 위험물질 통관을 전면 중단할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따라 중국에서 화학제품을 수입하거나 수출하는 업체들은 비상이 걸렸고 중국내 공장이 문을 닫으면서 관련제품들의 국제시세가 천정부지로 치솟고 있다. 일본의 한 수입업체는 중국의 윈난(云南)성에서 비료 원료인 인을 수입하고 있으나 통관중단 소식이 알려지자 부산에 창고를 빌려 사재기에 나섰다. 이 업체는 장애인 올림픽이 끝날 때까지 두 달간 물량을 미리 확보할 계획이다. 농약원료를 수입하고 있는 한국의 한 업체 관계자는 올림픽을 앞두고 농약원료 통관이 아예 중단된다는 소식을 받고 지난주 급히 중국으로 들어왔다. 그는 “장쑤(江蘇)성에 있는 공장을 방문했으나 정부로부터 생산을 당분간 중단하라는 통보를 받았다는 업체를 설득하느라 애를 먹었다”면서 “이 공장은 정부의 감시를 피해 낮에는 문을 닫고 밤에 몰래 공장을 가동하고 있으나 40톤의 주문량을 채우지 못해 결국 20톤으로 줄일 수밖에 없었다”고 전했다. 중국측이 통관절차를 강화하면서 중국에 가공식품을 수출하는 한국업체들도 곤욕을 치르고 있다. 칭다오(靑島), 옌타이(煙臺), 상하이(上海) 등에서 그전에 3~4일이면 완료됐던 수입식품의 통관이 최소 2주 이상, 심지어 1달이 소요되고 있다. 이로 인해 한국의 대중 농식품 수출이 차질을 빚고 있고, 중국내 수입업체들은 재고확보에 비상이 걸렸다. 또한 통관 지연으로 대금 결제가 늦어지고 있고 식품 유효기간도 단축되는 등 연쇄적인 부작용이 나타나고 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