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용가리' 성공의 교훈

제로나인 엔터테인먼트(대표 심형래)가 총 100억원을 투입, 제작한 「용가리」는 지난해 칸 영화제에서 동남아국가및 남미지역 등과 사전판매 계약을 맺은 바 있다.이번에 「쉬리」에 이어 일본시장에 진출하게 됨으로써 모두 400만달러(한화 48억원)에 가까운 수출실적을 올리게 됐다. 또 미국 할리우드의 4대 메이저와 2,500만달러(한화 약 300억원)에 기존 계약금을 제외한 전 세계에 판권을 넘기는 방안도 협의중에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우리영화로는 처음으로 전세계 배급망을 타게되며 국내영화산업이 세계적으로 인정받을 수 있는 계기를 이룬다는 점에서 성사여부가 주목된다. 영상산업은 소프트웨어(SW)산업과 더불어 새로운 세기를 이끌어 갈 대표적인 산업으로 꼽힌다. 그만큼 부가가치가 높다는 뜻이다. 지난해 전 세계를 휩쓴 미국 영화 「타이타닉」은 총 24억달러(미국내 6억달러 포함)의 수익금을 올렸다. 당시까지 기록인 「주라기 공원」의 9억1,000만달러(미국내 3억5,000만달러 포함)를 간단히 깨뜨린 것이다. 단순 계산만으로도 「타이타닉」한편이 세계각국에서 거둬들인 돈(18억달러)은 한국이 자동차 1,000만대를 수출하고 벌어들인 액수보다 많은 규모다. 연관산업이나 고용효과 등을 포함하면 계산이 달라지겠지만 어쨌든 부가가치면에서는 영상산업을 뒤쫓아가지 못한다. 영상산업은 여느면 벤처에 속한다. 부가가치가 높은 반면 위험부담도 크다. 그런만큼 자본력이 튼실해야 하는데 우리나라에서는 그렇지 못한게 현실이다. 대부분의 제작사들이 영세, 작품 한편 제작비가 겨우 10억원대 안팎이며 많아야 30억원대다. 좋은 영화가 나올리 만무하다. 할리우드에서는 1억달러(한화 1,200억원)가 넘는 영화가 보통이다. 이같은 관점에서 「용가리」의 제작자인 심형래씨는 어려운 환경속에서 한 우물을 판 사람으로 칭송을 받아야 한다. 그가 「신 지식인」의 한 사람으로 꼽히고 있는 것도 이해가 가는 대목이다. 영상산업에 대한 투자가 이뤄져야 한다. 「용가리」에서 보듯, 인정을 받을 경우 제작비의 회수는 어렵지 않다. 최근에는 에니메이션을 중심으로 일본시장 진출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자본력의 열세로 일본의 수요를 제대로 충족시키지 못하고 있다는 얘기도 들린다. 영상산업을 육성하는 것은 21세기형 산업에 대한 투자나 다름없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