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생활

(2보)갤러리아 면세점시장 진출한다

제주공항 출국장 면세점 운영업체로 선정돼

주력 사업 백화점 정체 속 신성장동력 얻어

한화갤러리아가 신세계조선호텔, 하나투어 등을 제치고 제주국제공항 출국장 면세점 운영 사업자로 선정됐다. 갤러리아의 면세점 사업은 이번이 처음으로 롯데쇼핑, 신라호텔, 신세계조선호텔 등에 비해 후발주자이긴 하나 그동안 백화점 영업을 하면서 쌓아온 상품 소싱 노하우와 수입 브랜드와의 협상력을 바탕으로 면세점 시장에서 기업의 새로운 성장 동력을 찾는다는 방침이다.


13일 제주공항공사와 갤러리아에 따르면 이날 개찰된 제주공항 출국장 면세점 사업자 입찰에서 갤러리아의 자회사인 한화타임월드는 유효 입찰업체 5곳 중 가장 높은 241억5,000만원을 적어내 사업자로 선정돼 향후 5년간 면세점을 운영하게 됐다. 이번 낙찰가는 기존 사업자인 롯데면세점의 5년전 낙찰가 100억원보다 2.4배 높은 수준으로, 제주면세점 운영권을 놓고 치열한 경쟁이 벌어졌음을 보여줬다.

관련기사



이에 대해 유통업계의 한 관계자는 “입찰 전부터 대기업은 물론 중소기업들도 높은 관심을 보여 낙찰가가 높을 것으로 예상은 했지만 갤러리아가 굉장히 높게 써냈다”며 “그만큼 갤러리아의 면세점 사업 진출 의지가 굉장히 높음을 알 수 있다”고 평가했다.

그동안 갤러리아는 제주공항 면세점 사업을 신규사업의 일환으로 적극 검토해왔다. 제주공항 면세점의 면적이 409㎡으로 규모는 작은 편이나 면세점 사업을 처음 시작하는 입장에서는 명품 유치 및 외국인 대상 마케팅 능력 등을 발휘할 수 있는 최적의 장소와 규모라고 판단했기 때문이다.

뿐만 아니라 갤러리아는 제주도를 찾는 국내외 관광객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는 점도 이번 입찰 과정에서 주시했다. 이미 한화그룹이 제주에서 아쿠아플라넷, 리조트 등 관광 관련 사업을 펼치고 있어 면세점 사업까지 진출할 경우 시너지를 낼 수 있을 것으로 판단했다.

김민정 갤러리아 전략실 상무는 “갤러리아의 외국인 마케팅 노하우의 접목, 외국인 관광객 유치와 연계해 제주지역에 도움이 될 수 있는 방안 등 다각적인 면세점 운영안을 마련할 것”이라며 “작지만 강한 면세점이 될 수 있도록 운영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한편 이번 제주국제공항 면세점 사업은 입찰 전부터 대기업은 물론 중소ㆍ중견기업들까지 눈독을 들이는 등 업체간 경쟁이 치열했다. 하지만 기존사업자인 롯데면세점과 업계 2위인 신라면세점은 대ㆍ중소기업 상생 차원에서 입찰을 포기했고 최종적으로는 갤러리아와 신세계조선호텔, 하나투어 등이 입찰에 참여했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