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사외칼럼

[발언대] '뉴미디어 활성화' 드러나는 과제들

2006년 독일 월드컵은 안방의 TV뿐 아니라 지상파DMB, 위성DMB, 포털, 그리고 실험방송 중인 인터넷TV(IPTV) 등 각종 뉴미디어를 통해 시청자들에게 파고들게 됐다. 하지만 뉴미디어의 등장으로 인해 환한 빛 뒤편의 짙은 그늘처럼 해결과제도 속속 드러나고 있다. 우선 이런 다양한 플랫폼을 채울 콘텐츠의 문제다. 조만간 가입자를 받게 될 IPTV와 휴대인터넷(Wibroㆍ와이브로)도 공급 측면에서 어떻게 보조를 맞춰주느냐가 고민거리다. 플랫폼만 다를 뿐 같은 콘텐츠라는 식상함에 새 미디어들이 제대로 꽃피지 못하고 좌초됐던 경험을 우리는 갖고 있다. 둘째 뉴미디어가 과연 국내에서 얼마나 수용자 편의라는 관점에서 제작, 홍보되고 있느냐는 문제다. 기술은 빠른 속도로 발전하지만 이용자에게는 ‘학습시간’이 필요한 법이다. 예컨대 디지털TV를 제대로 설치해놓고 시청하는 가정이 얼마나 될까. 컴포넌트 단자와 S-비디오 단자는 뭐가 다른지, DVI와 HDMI 연결은 뭘 의미하는지, SD와 HD는 뭐가 다른지, 일체형과 분리형이 뭔지 잘 모르는 게 현실이다. 새 미디어의 발전은 구세대와 신세대간 격차를 더 키울 수도 있다. 두 세대간 지식격차가 커지면서 구세대는 막연한 두려움을 느끼며 살아가고 있는 게 우리 이웃들의 모습이다. 기능경쟁보다 수용자 편의성 측면에서 단순제작이나 알기 쉬운 사용설명서 등 제조업체들의 작은 배려가 필요한 시점이라는 점을 강조하고 싶다. 정부부처 내 정책이 기술발전을 따라가고 있느냐는 점도 지적할 수 있겠다. 방송과 통신의 영역들은 지금 빠르게 지워지고 있다. 방송이 방송네트워크가 아닌 휴대전화나 인터넷망을 통해 제공되고 있다. 통신정책부서인 정보통신부와 방송정책부처인 방송위원회가 현재 규제 틀에서 통제할 수 없는 서비스도 이미 많이 등장했다. 한국은 지난 몇 년간 한발 앞서왔지만 미래에도 유지되리라는 보장은 없다. 해당부처와 관계자들이 미래 세대를 위해 무엇이 바람직한지를 큰 틀 안에서 계획하고 결단하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본다. 2010년 남아프리카공화국 월드컵은 벽 전체를 차지한 TV나 거실 한가운데에 위치한 3차원 TV로 관람할 수 있을지도 모르는 게 오늘날 뉴미디산업의 발전 속도다. 몇 년 내 이뤄질 몇 가지 선택들이 한국의 미디어산업 수십 년을 좌우할 수 있다는 사실을 상기해야 할 때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