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도소매 판매 6개월 연속 감소

생산 증가세 1년4개월만에 최저… 내수 부진 지속<br>설비투자 감소세로 전환… 경기회복 힘들 듯

수출부진 등으로 생산 증가세가 둔화되고 대표적인 내수지표인 도소매판매가 6개월 연속 감소세를 이어가면서 설비투자도 감소세로 돌아서 지표상으로는 경기가 호전될 기미를 보이지 않고 있다. 또 앞으로 경기 전환시기를 예고하는 경기선행지수 전년동월비도 9개월 연속 감소했고 동행지수 순환변동치도 다시 감소세로 반전, 경기 하강국면이 지속되고 있음을 나타냈다. 성장을 홀로 이끌던 수출 증가율도 1년4개월만에 최저를 기록, 경기회복이 쉽지않을 것으로 보인다. 28일 통계청이 발표한 `2004년 12월 산업활동 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산업생산은 반도체와 자동차 생산 증가에도 불구하고 수출부진 등으로 전년 같은 달에 비해4.5% 증가하는데 그쳤다. 이 증가폭은 2003년 8월의 1.6% 이후 1년4개월만에 최저치다. 산업생산 증가율은 지난해 7월 13.0%를 기록한 이후 8월 10.6%, 9월 9.5%, 10월5.8% 등으로 감소하다 11월 9.9%로 잠시 호전될 기미를 보였지만 다시 둔화됐다. 이처럼 생산 증가폭이 급격하게 둔화된 것은 휴대폰 등 영상음향통신의 수출 감소와 전체 생산 증가폭이 컸던 전년 12월의 기저효과에 따른 것으로 풀이됐다. 업종별 생산지수는 반도체(19.0%), 자동차(19.0%), 기계장비(8.0%) 등은 증가한 반면 영상음향통신(-2.2%), 섬유제품(-10.0%), 조립금속(-7.9%) 등은 감소했다. 지난해 전체 산업생산 증가율은 같은해 상반기의 호조세로 10.1%에 달해 2000년의 16.8% 이후 최대를 기록했다. 지난달 수출은 14.0% 증가하는데 머물러 작년 8월의 10.3% 이후 최소 증가폭을기록, 확실한 둔화조짐을 보였다. 지난해 11월 반짝 증가세를 보였던 설비투자추계는 전년 같은 달보다 2.0% 줄어 다시 감소세로 돌아섰다. 도소매 판매는 자동차 및 차량연료 판매(4.6%)는 증가했지만 도매업(-0.6%)과백화점(-4.9%)을 포함한 소매업(-1.1%)의 판매가 줄어 전년 동월 대비 0.1%가 감소해 6개월 연속 감소세를 이어갔다. 생산 증가세 둔화와 내수부진 지속으로 향후 경기전환시기를 예고해 주는 선행지수 전년동월비도 앞선 달보다 0.2%포인트 떨어지며 9개월 연속 감소세를 보였다. 현재의 경기를 나타내는 동행지수 순환변동치도 전월보다 0.6포인트 떨어져 감소세로 돌아섰다. 제조업 평균가동률은 79.9%로 전년 9월 이후 3개월만에 80% 미만으로 떨어졌다. 반면 최근 대규모 재건축, 재개발 수요가 잇따라 등장하면서 지난달 건설부분지표는 전례를 찾아보기 힘들 정도의 호조세를 나타냈다. 대전 석봉동 대규모 아파트단지 수주 등에 힙입어 건설수주액이 전년 같은 달보다 38.4% 급증한 15조1천620억원으로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으며 기성액도 7조7천240억원으로 최호황기였던 전년 같은달에 비해서는 4.1% 줄어들었으나 연중 최고치를기록했다 . 통계청 관계자는 "아직 경기 하강국면이 지속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면서 "그러나 계절조정 도소매 판매가 전월보다 2.1% 증가한 것은 긍정적인 신호"라고 말했다. (서울=연합뉴스) 이상원 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