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건교부-환경단체] 영월댐 3가지 쟁점 `팽팽'

영월 다목적댐 건설을 놓고 건설교통부와 환경단체간의 논쟁이 팽팽히 맞서고 있는 가운데 정부는 오는 8월까지 관련 전문가로 구성단 평가단의 평가와 검증등을 토대로 사업추진 여부를 최종 결정할 예정이다. 찬반 양측의 주장을 쟁점별로 살펴본다.◇댐의 안전성=환경단체는 영월댐 건설지역이 석회암지대여서 저수량 7억톤의 물이 찰 경우 석회암이 녹아 댐이 붕괴할 수 있다고 우려하고 있다. 지질학적으로도 습곡과 단층 등 다양한 지질운동의 영향을 받아 지하누수 가능성이 높다는 입장이다. 반면 건교부는 96~97년 정밀지질조사 결과 댐의 안전성에는 문제가 없는 것으로 결론이 났고, 댐건설 지점은 석회암이 아닌 암반지역이라고 맞서고 있다. ◇생태계 및 비경 파괴=최대 쟁점이다. 환경단체는 희귀 동·식물의 보고인 동강일대가 수몰되면 자연생태계의 파괴는 불보듯 뻔하다고 지적하고 있다. 특히 수달과 어름치·황조롱이·원앙새 등 천연기념물의 멸종도 예상된다고 우려하고 있다. 반면 건교부는 댐건설로 호수가 형성되는 면적은 유역면적의 1%에 불과하므로 일부 동·식물의 서식처 변화는 불가피하지만 멸종 등의 우려는 기우라고 주장하고 있다. 오히려 댐이 생기면 호수와 하천의 조건을 동시에 갖춰 전체 유역전체에서 생물의 다양성이 증가할 수 있다는 입장이다. 동강유역이 수몰되더라도 동강계곡의 아름다운 선형은 대부분 유지할 수 있다고 반박하고 있다. ◇수도권 수해피해=환경단체는 기존의 다목적댐이 용수공급 목적으로 평상시 물을 채워놓고 있어 오히려 홍수피해를 유발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이에 따라 대형 다목적 댐을 건설하기 보다는 상류에 홍수조절용 소형댐을 건설하는게 바람직하다는 입장. 반면 건교부는 댐이 설치되면 갈수기와 홍수기에 맞춰 수위를 조절할 수 있어 댐건설이 홍수피해를 야기한다는 주장은 설득력이 없다고 지적하고 있다. 특히 영월댐 건설이 지난 90년 한강대홍수로 강원도와 영월군의 요구로 추진됐고, 남한강유역에는 충주댐외에 다목적댐이 없어 영월댐 건설은 불가피한 선택이라고 맞서고 있다. /권구찬 기자 CHANS@SED.CO.KR

관련기사



권구찬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