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정책

김중수, “리먼사태의 원인이 된 각국·금융부문간의 연계성이 오히려 강해지고 있어”

김중수 한국은행 총재는 13일 한국은행 본관에서 시중은행장을 초청해 금융협의회를 열고 “글로벌 위기를 만든 (각국 금융시장의) 연결고리가 위기를 해결하는 과정에서 더욱 강해졌다”며 앞으로 조그만 위험에도 금융시장이 더 크게 흔들릴 가능성이 있다고 밝혔다.

김 총재는 그 예로 국가와 은행의 신용등급이 동조화하는 현상을 들었다.

그는 “위기 이전엔 은행의 신용등급이 워낙 높아 국가와 은행의 등급은 별개란 인식이 있었지만 최근엔 그렇지 않다”며 “더 큰 문제는 앞으로 이 관계가 더욱 밀접해진다는 것”이라고 말했다.


김 총재는 리먼사태를 수습하는 과정에서 나온 글로벌 금융규제 바젤Ⅲ를 언급하며 국내 은행들이 바젤Ⅲ를 이행하면 국채를 다량 사들일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그러나 각국의 국가부도위기가 이전보다 크게 변동성을 띄며 국채가격이 오르락내리락하면, 국채를 보유한 은행도 신용위험이 커지게 된다고 설명했다.

김 총재는 은행장들에게 “모든 조직 간의 유기성이 높아진 상황이 됐다”며 “앞으로 행장들도 국제적인 금융이슈에 관심을 두고 봐 달라”고 당부했다.

이날 금융협의회에는 이순우 우리은행장, 서진원 신한은행장, 조준희 기업은행장, 김종준 하나은행장, 하영구 씨티은행장, 리처드 힐 스탠다드차타드(SC)은행장, 이원태 수협은행장이 참석했다.

/디지털미디어부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