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공항에서 비행기를 갈아타고 다른 나라로 이동하는 환승객 수가 7개월 연속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국토교통부와 인천공항공사에 따르면 인천공항을 이용한 국제선 환승객 수가 올해 1월만 빼면 지난해 9월부터 올 4월까지 7개월 연속 줄었다. 지난해 8월 67만8,000여명에 달했던 국제선 환승객 수가 올 4월 52만5,900여명으로 급감한 것이다. 이로 인해 지난해 상반기까지만 해도 20%에 육박하던 국제선 월간 환승률이 현재는 15%까지 떨어진 상태다. 환승률은 '허브 공항'을 가늠하는 가장 중요한 지표다. 독일 프랑크푸르트공항(42%), 네덜란드 스히폴공항(38%), 싱가포르 창이공항(31%) 등 세계적 허브 공항들은 대부분 30%를 넘는다. 인천공항의 강력한 경쟁자인 일본 나리타공항조차 20%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인천공항의 경쟁력이 흔들리는 데는 여러 원인이 있겠지만 정부의 무책임한 낙하산 폐해도 결코 무시할 수 없는 배경으로 작용하고 있다. 최근 들어 동북아 허브 공항 경쟁을 벌이는 일본 하네다공항은 국제선 노선을 신설하고 비행기 처리능력도 연간 6만대에서 9만대로 50%나 늘렸다. 중국 항공사들도 미주 직항노선을 증편하는 등 날로 경쟁력을 키워가고 있다. 이런 극심한 환경변화 속에서 정부는 지난해 6월 전문성 논란과 낙하산 시비에도 불구하고 정창수 전 국토부 차관을 인천공항공사 사장으로 내려보냈다.
그런데 취임 초 "국민의 열망에 부응하고 더 큰 성공의 기회를 위한 투자와 혁신에 매진하겠다"고 다짐했던 정 전 사장이 6·4지방선거에 출마한다며 2월에 사표를 내고 말았다. 취임한 지 불과 9개월 만이다. 이후 석 달이 흘렀음에도 사장 자리는 여전히 비어 있다. 정작 중차대한 시기에 공항 경영이 사실상 방치되고 있는 것이다. 이대로 가다가는 인천공항이 동북아 허브 공항 경쟁에서 완전히 밀릴 판이다. 공기업이 국민과 국가경제에 봉사하지 못한 채 한낱 개인의 입신양명 수단으로 이용되는 데 따른 업보일 수밖에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