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역조건 악화…국민소득 증가율 미미한국은행 '2분기 국민소득 추계'
실질 국민총소득(GNI)이 유가 상승 등 교역조건 악화에 영향을 받아 지난 2·4분기 중 지난해 동기 대비 1.8% 증가하는 데 그쳐 국내총생산(GDP) 증가율에 크게 못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질 GNI는 국민소득으로 얼마 만큼의 상품을 구입할 수 있는가를 나타내는 체감지표이다.
6일 한국은행은 「2·4분기 국민소득 추계결과(잠정)」에서 실질 GNI는 99조9,569억원으로 지난해 동기 대비 1.8% 증가해 실질 GDP 성장률 9.6%에 크게 못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1분기에는 실질 GNI 상승률이 6.6%로 실질 GDP 성장률(12.8%)의 절반 수준이었다
◇체감경기지표보다 훨씬 낮다
통상 경기를 이야기할 때 실질 GDP가 주요 지표가 됐다. 그러나 이 지표에는 국외거래에 따른 변수들이 포함돼 있지 않다. 특히 최근과 같은 고유가시대에는 고유가에 따라 서민들이 직접 생활상의 어려움을 겪게 된다.
이런 대외교역 조건이 반영되는 지표가 실질 GNI다. 실제 고유가 행진이 시작된 지난해 2분기 이후 GNI 증가율은 GDP 증가율을 밑돌았으며 유가의 추가 상승에 따라 그 격차가 더욱 벌어지는 추세다.
정정호(鄭政鎬) 한은 경제통계국장은 『국제유가 급등으로 교역조건이 악화돼 실질 GNI 증가율이 크게 낮아졌다』며 『하반기에도 국제유가 강세가 지속되고 있기 때문에 향후 실질 GNI도 좋지 않을 것으로 전망된다』고 말했다.
실질 GNI와는 달리 명목 GNI는 124조9,648억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에 비해 9.1% 증가했다.
일정량 수출로 수입할 수 있는 재화의 양을 나타내는 교역조건지수는 국제유가 급등으로 수입단가가 크게 올라감에 따라 72.6에 그쳐 지난해 동기 대비 13.7%나 악화됐다.
이같은 하락폭은 지난 80년 1·4분기(마이너스 15.1%) 이후 가장 큰 것이다.
◇건설업 여전히 부진
물가를 반영한 명목 GNI 증감을 산업별로 보면 건설업이 마이너스 1.2%로 전 분기(마이너스 4.0%)에 비해 감소폭이 축소된 것으로 나타났다.
제조업(12.7%), 전기·가스·수도사업(11.9%), 통신업(11.4%), 도·소매 및 음식·숙박업(10.7%), 사회 및 개인서비스업(8.3%) 등 대부분 산업에서 증가했다.
종합물가지수인 GDP 디플레이터는 생산자 물가와 소비자 물가는 올랐으나 수출품 가격이 하락하고 수입품 가격이 상승함에 따라 지난해 동기 대비 1.1% 하락했다.
2·4분기 중 총저축률은 소비 증가폭이 소득을 앞질러 지난해 동기보다 0.6%포인트 하락한 33.3%를 기록했다.
국내총투자율은 설비투자가 급증하고 건설투자 감소폭도 크게 줄어 1.8%포인트 상승한 29.4%를 나타냈다. 국외투자율은 총저축률이 하락한 반면 국내총투자율이 높아져 지난해 동기의 6.6%에서 2.4%로 대폭 하락했다.
◇GNI(GROSS NATIONAL INCOME)란
한 국가 전체가 한해 동안 생산해낸 생산량에 해당 연도의 가격을 적용하면 명목 GNI가 된다. 실질 GNI는 이 명목 국민총소득으로 구매할 수 있는 상품의 수량을 나타내는 것이다.
따라서 실질 GNI는 명목 국민소득의 가격변동분을 제외하고도 상품간의 가격변화차이(상대가격)에 따라서도 변하게 된다. 특히 거래 당사자가 국민과 외국인일 경우 수출입가격(교역조건) 변화에 영향을 받게 된다.
이에 따라 실질 GNI는 종전의 국민총생산(GNP)에 교역조건변화에 따른 무역손익을 조정한 것으로 국민들이 피부로 느끼는 체감도는 높은 것으로 알려졌다.
온종훈기자JHOHN@SED.CO.KR
입력시간 2000/09/06 17:31
◀ 이전화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