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서울대 줄기세포 연구진 흡수·통합 구제"

줄기세포 조작사건에 대한 검찰수사가 종점으로치달으면서 황우석 교수 등 핵심 관련자를 제외한 서울대 줄기세포 연구원 50∼60여명의 구제 방향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5일 과학기술부 등에 따르면 검찰이 핵심 관련자들에 대한 처벌수위를 확정, 수사를 마무리하는 대로 줄기세포 연구진을 다른 연구팀에 흡수시키거나 서울대 수의대의 다른 연구 프로젝트에 편입시켜 구제하는 방안을 추진키로 했다. 서울대 수의대의 배아줄기세포 연구팀은 황우석 교수와 이병천 교수, 강성근 교수 외에 박사급 연구원 22명, 석사급 연구원 7명, 연구원 31명 등 모두 63명. 이 가운데 황 교수 등 핵심 관계자는 어떤 형태로든 검찰의 처벌이 불가피하고,이후 서울대 징계위원회에서도 파면 등 중징계가 예상돼 연구현장에서 물러날 것으로 과기부는 보고 있다. 이럴 경우 나머지 일반 연구원 50∼60명은 향후 진로가 매우 불투명하고 기존에확보하고 있던 기술마저 사장될 위험성 마저 있어 서둘러 대책을 마련해야 하는 상황이라고 과기부는 설명했다. 이에 따라 과기부는 검찰 수사가 종료되는대로 줄기세포 연구에 참여했던 연구원들을 파악, 세부적인 구제절차나 방법 등에 대한 검토작업에 들어갈 계획이라고밝혔다. 과기부 관계자는 "일단 연구원 본인의 의사를 존중, 서울대와의 협의를 거쳐 다다른 연구팀에서 줄기세포 연구를 계속하도록 지원하거나 동물복제 연구 등 각기 원하는 방향으로 구제가 이뤄질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황 교수 등 핵심 관계자들의 논문조작 등 일부 문제점에도 불구하고 나머지 연구원들은 이미 상당 수준의 기술력을 확보하고 있는 만큼 이들의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뤄지는 게 바람직하다고 강조했다. 과기부 관계자는 이와 관련해 최근 범 정부 차원에서 추진하고 있는 `줄기세포연구 종합추진계획'의 틀안에서 이들 연구원을 구제하는 방안을 검토하게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과기부는 정부와 민간 전문가들이 참여하는 기획연구팀이 오는 5월 `줄기세포연구 종합추진계획안'을 제시하면 이를 바탕으로 `종합추진계획안'을 마련, 과학기술관계장관회의에 상정할 계획이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