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홍준표 퇴진론' 잠잠

추경 합의 처리후…"사실상 유임 가닥"


홍준표 한나라당 원내대표의 퇴진론이 수면 밑으로 가라앉았다. 홍 원내대표의 책임론을 촉발시킨 추가경정예산안이 18일 국회 본회의에서 '여당 일방통과'의 불상사를 피하고 여야 간 합의로 원만하게 처리된 데 따른 것이다. 특히 정기국회가 본격화한 상황에서 당내 문제로 갈등이 야기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는 견해에 무게가 실리면서 홍 원내대표의 퇴진론이 수그러들었다. 후임 원내대표의 기준까지 제시하며 퇴진론 선봉에 섰던 친이명박계 소장파 의원들은 이날 공개적 입장표명을 자제했다. 퇴진론 주장에서 한 발짝 뒤로 물러서는 듯한 분위기다. 당 지도부가 '추경안 처리 후 재논의' 입장을 정리한 뒤 추경안이 여야 간 합의로 처리된 만큼 앞으로의 사태 추이를 지켜보겠다는 것으로 보인다. 한 친이명박계 소장파 의원은 "특정인의 거취 문제를 계속 거론하기도 부담스러운 측면이 많다"면서 "본인이 완강하게 버티면 할 수 없는 일"이라고 말했다. 무엇보다 지도부가 추경안 처리 후 퇴진론을 다시 논의한다고 하지만 당내에서는 사실상 유임론으로 가닥이 잡힌 것 아니냐는 관측이 지배적이다. 일각에서는 홍 원내대표가 오히려 추경안 처리를 계기로 재기의 발판을 마련, 실추됐던 정치력과 대야 협상력을 회복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허태열 최고위원은 "추경안이 여야 간 합의 처리된 만큼 홍 원내대표에게 다시 기회를 주는 것이 이 시점에서 타당하다고 본다"면서 홍 원내대표에게 힘을 실어주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