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오포비리' 수사 포스코건설 압박

포스코건설 로비개입 의혹 갈수록 증폭

경기도 광주 오포 아파트 인허가 비리의혹에 대한 검찰의 저인망식 수사가 본격화되면서 포스코건설의 로비개입 의혹이 점차 커지고 있다. 수사가 진척되면서 그동안 로비에 일절 개입하지 않았다고 주장해 온 포스코건설이 아파트사업 시행사인 정우건설을 내세워 막후에서 로비를 사주한 게 아니냐는의혹도 새롭게 제기되고 있다. 검찰은 포스코건설 쪽에서 이처럼 `악취'가 조금씩 감지됨에 따라 포스코건설이로비자금을 정우건설에 전달했을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계좌를 추적하는 등 압박의강도를 높이고 있다. 검찰은 아직까지 포스코건설이 로비에 직접 개입했음을 보여주는 결정적인 정황이나 단서를 찾지 못했으나 아파트 단지 인허가 과정에서 모종의 불법행위를 저질렀을 가능성을 배제하지 않고 조사 중이다. 포스코건설의 로비 개입 의혹이 처음 제기된 것은 오포사업단의 김모 상무가 작년 6월 정찬용 전 청와대 인사수석비서관을 찾아가 오포지역 지구단위계획 변경을위한 민원을 제기한 정황이 포착된 이후부터다. 당시 포스코건설은 `로비에 개입하지 않았다. 해명할 기회도 없이 비리의 몸통으로 몰리고 있다'며 억울하다는 반응을 보였으나 조사가 진행될수록 의혹이 해소되기는커녕 오히려 증폭되고 있다. 더욱이 김 상무의 인사수석실 방문이 구속 기소된 로비스트 이모(53)씨의 주선으로 이뤄진 사실이 드러나면서 비리의 `몸통'이 아니냐는 의혹의 시각도 점차 커지고 있다. 검찰은 한때 `정우건설의 로비자금이 포스코건설에서 흘러든 것이 아니다'고 못박으면서 포스코건설의 로비 개입설이 수면 아래로 가라앉는 듯한 분위기가 나타나기도 했다. 또 검찰이 두 차례에 걸쳐 김 상무를 체포, 조사했으나 로비 경로를 제대로 파악하지 못해 풀어줬다고 밝히면서 포스코건설이 `몸통'이 아닐 수 있다는 관측이 설득력을 얻기도 했다. 하지만 포스코건설이 경기도 도시계획위원들에게 고액의 자문료를 제공한 단서가 포착되면서 이런 관측은 일순간에 반전됐다. 광주시가 아파트 택지조성을 위한 지구단위계획을 수립하던 2003∼2004년 포스코건설이 일부 교수 위원들과 자문계약을 맺고 1천만원 안팎의 돈을 제공한 정황이드러나 검찰의 칼날이 다시 포스코건설을 겨냥하게 된 것이다. 이에 따라 검찰은 21일부터 경기도 도시계획위원 3명을 잇따라 불러 포스코건설측에 설계자문을 해 준 경위와 자문료의 성격, 직무연관성 등을 캐물으며 포스코건설의 로비개입 의혹을 집중적으로 캐고 있다. 포스코건설은 자문료의 성격에 대해 `시각에 따라 다르게 볼 수 있는 것 아니냐'는 식으로 강변하고 있지만 검찰은 도시계획위원을 사법처리 대상으로 검토하고 있을 만큼 의혹의 실체를 상당 부분 규명한 것으로 분석된다. 포스코건설이 발주한 2천 가구의 오포 아파트 설계를 경기도 도시계획위원이 대표이사로 있는 C 건축사무소가 수주한 사실이 새롭게 드러나 포스코건설의 로비 개입 의혹 정황이 더욱 굳어지고 있는 형국이다. 포스코건설 관계자는 "당초 지구단위계획 문제를 염두에 두고 C 건축사무소에설계를 맡긴 것은 사실이지만 로비에는 전혀 개입하지는 않았다"고 주장했지만 검찰의 시각은 정반대다. 대검 중수부는 지금까지 드러난 각종 단서들을 근거로 포스코건설이 정우건설에로비자금을 지원했는지 등을 규명할 방침이어서 조만간 오포 비리의 몸통이 드러날지 주목된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