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일반

위기 부추기는 외신

왜곡·악의적 보도 쏟아내 시장 불안감 증폭<br>정부 즉각 해명 불구 '자기실현적 위기" 우려


해외 신용평가사들이 국내 은행에 대한 경고문을 내보낸 데 이어 이번에는 해외 언론들이 무책임하고 악의적인 보도를 쏟아내면서 국내 금융시장의 위기를 증폭시키고 있다. 흡사 외환위기 당시 이른바 ‘해외 음모론’이 나왔던 것과 비슷한 양상이다. 정부가 즉각 해명 자료를 내는 등 진화에 총력전을 펼치고 있지만 ‘시장 불안감→경제 주체의 쏠림 현상→실제 위기 발생’이라는 ‘자기 실현적(Self-fulfilling) 위기’에 빠질 수 있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금융위원회는 9일 ‘한국의 은행들 과거 실수 망각’이라는 제하의 인터내셔널헤럴드트리뷴의 기사에 대해 “사실과 다르다”고 반박했다. 이 신문은 지난 8일자에서 한국 은행들이 외환위기 때처럼 달러를 빌려 원화로 대출했고 원화가 하락하자 위기를 맞게 됐다고 전했다. 하지만 금융위는 6월 말 현재 은행의 원화대출금은 873조원으로 대부분 원화 자금으로 조달하고 있고 외화 조달 자금은 대부분 외화(96.4%)로 운용하고 있다고 반박했다. 트리뷴이 기본 사실도 확인하지 않고 기사를 쓴 셈. 다우존스가 “신용평가사 피치가 한국계 은행에 ‘지급불능(Insolvency)’ 징후가 있다고 평가했다”고 보도한 것도 왜곡 보도 사례로 꼽힌다. 기획재정부가 문의한 결과 피치사가 다우존스에 보낸 e메일의 내용은 “만약 유동성 압박(liquidity squeeze)이 지급불능 사태로 번진다면 국가신용등급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내용이었다. 가정법이 실제 지급 불능 기미가 있다는 내용으로 둔갑한 것. 이뿐만 아니다. 지난달 1일에는 영국의 더타임스가 “한국 경제가 ‘검은 9월’로 치닫고 있다”는 제목의 자극적인 기사를 내보냈다. 이 신문은 “한국의 외환보유액이 국제통화기금(IMF)이 권장하는 적정 외환보유액인 9개월 수입액에 못 미친다”고 보도했지만 실제 IMF 권장 보유액은 3개월 수입액이다. 외신들은 왜 이렇게 국내 금융시장의 불안감을 증폭시키고 있을까. 우선 음모설. 외국인들은 9월 위기설로 시중금리가 급등하자 채권을 대거 순매수해 막대한 이익을 챙겼다. 이보다는 외신들의 인력풀이 문제라는 지적이 더 설득력을 얻고 있다. 외신별로 한국 담당 기자가 극소수에 불과하고 경력도 적은데 완성도 높은 기사를 기대하기 어렵다는 것이다. 이들이 국내 언론 기사 가운데 자극적인 부분만 베끼다 보니 무리한 보도로 이어지고 있다는 설명이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