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정책

한국, 터키 원전 수주 협약 차질

전력판매가격 등 합의 실패…터키 "日 등과도 협상" 압박

우리나라가 터키에 수출을 추진 중인 한국형 원전의 신형원자로 'APR 1400'의 모습. 우리 정부와 터키는 오는 2019년부터 가동될 터키의 시놉원전에 APR 1400을 설치하는 방안을 협상 중이다. /서울경제 DB

우리 정부가 주요20개국(G20) 정상회의 기간 중에 타결을 추진했던 터키 원전 수주 협상이 '전력판매가격' 등의 문제에 부딪혀 일단 무산됐다. 양국은 추후 협상을 지속할 예정이지만 터키 측이 일본 등 다른 국가와도 협상개시 의사를 밝혀 향후 협상과정이 만만치 않을 것으로 전망된다. 지식경제부는 13일 한ㆍ터키 정상회담에 맞춰 계획했던 터키 원전에 관한 정부 간 협약(IGA) 체결이 불발됐다고 밝혔다. 양국 원전 협상팀은 이날 이명박 대통령과 레제프 타이이프 에르도안 터키 총리의 정상회담이 열리기 전 가격 등 쟁점을 둘러싸고 막판까지 이견을 조율했지만 합의점을 찾지 못해 협약 체결을 미루게 됐다. 이번 협상에서 양국이 접점을 찾지 못한 이유는 터키 측이 지나치게 낮은 전력판매단가를 고집했기 때문으로 알려졌다. 지경부의 한 관계자는 "전력판매 가격 등의 쟁점에서 입장차이로 합의에 도달하지 못했다"며 "터키 측이 추가적 논의를 희망함에 따라 가급적 이른 시일 내에 협상을 재개해 결론을 내기로 했다"고 밝혔다. 우리 측은 전력판매 금액이 너무 낮을 경우 이 사업을 주도하는 한국전력에 큰 부담이 되고 국회 동의를 받는 데도 어려움이 있을 수밖에 없다는 입장이다. 특히 이번 터키 원전의 경우 지난해 우리가 수주한 아랍에미리트(UAE) 원전의 턴키방식과 달리 우리 측이 건설자금의 일부를 조달하는 프로젝트파이낸싱(PF) 형태로 진행된다. 한전의 경우 막대한 건설비용 조달을 위해서는 외부 투자자 유치가 중요하다. 따라서 향후 전력 판매가격이 맞지 않을 경우 자금조달비용이 높아질 수밖에 없어 상당한 부담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높다. 더구나 앞으로 우리 측이 한국형 원전을 인도나 아르헨티나 등 신흥국에 지속적으로 수출하기 위해서는 이번 터키원전 협상이 일종의 '교과서'처럼 받아들여질 가능성이 높아 단순히 일회성 수주만을 겨냥해 양보하기도 만만치 않은 상황이다. 상황이 이렇게 되자 터키 측에서는 "한국 이외의 국가와도 협상할 수 있다"는 뜻을 내비치면서 우리 측을 압박하고 있다. 타네르 이을드즈 터키 에너지부 장관은 이날 양국 간의 협상을 마친 뒤 "한국 측이 일부 수정안을 제시했고 우리는 이를 검토할 것"이라면서도 "(한국이외의) 다른 국가들과도 협의를 시작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이어 "조만간 협의를 위해 일본 도시바를 초청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흑해 연안 시놉지역에 건설될 터키 원전은 총 발전 용량이 연 560만KW로 한국형 원전 APR 1400 4기를 건설하게 되며 오는 2019년에 가동된다. 이는 지난해에 수주한 UAE 원전과 비슷한 규모로 건설 비용만 200억달러로 추산되고 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