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두산중공업 노조원 분신사건, 재-노 갈등 비화

재계와 노동계가 두산중공업노조원 분신사망 사건을 놓고 정면대결로 치닫고 있다. 15일 재계와 노동계에 따르면 지난 9일 일어난 배달호 두산중공업노조원 분신사망 사건을 둘러싸고 민주노총ㆍ금속노조ㆍ민주노동당 등으로 구성된 `분신사망대책위`와 한국경영자총협회ㆍ대한상공회의소ㆍ두산 등 재계가 갈등을 빚고 있다. 노동계측은 두산중공업이 16일 오전8시부터 전면파업에 돌입하기로 결의한 데 이어 금속노조 산하 160여개 사업장도 이날 오후 4시간 파업을 결정했다. 또 두산제품 불매운동과 전국노동자대회, 박용성 두산중공업 회장의 대한상의 회장직 사퇴를 요구하고 나섰다. 재계는 노동계가 이번 사건을 올해 노동운동의 이슈로 부각시켜 정치적으로 이용하려 한다며 맞서고 있다. ◇노동계, 전국 규탄대회로 두산 압박=민주노총은 이날 이번 사건과 관련해 두산제품 불매운동과 전국노동자대회를 갖기로 결의했다. 민주노총은 우선 직접적인 타격을 줄 수 있는 두산제품 목록을 담은 안내문을 작성해 전국 단위노조에 배포해 불매운동을 벌이로 했다. 또 오는 18일 마산에서 1차 전국노동자대회를 열고 이어 25~26일 2차 전국대회를 가질 예정이다. 이에 앞서 분신사망대책위는 14일 오후 서울 상의 정문 앞에서 집회를 열고 박 회장의 상의 회장직 사퇴를 요구했다. 경남 지역 60여개 시민사회단체도 이날 오후 두산중공업 정문 앞에서 지역대책위를 구성하고 두산제품 불매운동과 분신사망 사건 해결촉구 등 활동에 들어갔다. ◇재계, 노동계 공세에 정면으로 맞서=두산중공업은 이날 성명서를 내고 “노조가 이번 사태를 놓고 외부단체를 끌어들여 신속한 장례와 사태수습보다는 지난해 47일간의 불법ㆍ폭력파업의 책임회피에만 주력하고 있다”며 “분신사건을 정치적으로 이용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경총도 성명서에서 “노동계는 이번 사태를 강경투쟁에 악용하는 선동행위를 즉각 중단하라”고 촉구했다. 경총은 “고인의 죽음이 사측의 노조탄압 때문이라고 일방적으로 매도하는 것은 문제의 본질을 왜곡하고 사태를 악화시킬 뿐 아니라 인륜에 반하는 처사”라며 “이번 사태로 기업들의 법에 따른 대응조치가 신종 노동탄압으로 호도되고 있다”고 주장했다. 상의도 “노사문제로 상의 회장의 책임을 묻는 것은 사건의 본질을 호도하는 것으로 박 회장의 상의 회장직 사퇴요구는 사리에 맞지 않는 주장”이라고 반발하고 있다. 한편 분신사망대책위원회와 검ㆍ경찰은 시신동결 등의 문제로 연기됐던 사인규명을 위한 현장부검을 16일 오전11시 양측 관계자 등이 참석한 가운데 실시하기로 했다. <조영주기자 yjcho@sed.co.kr>

관련기사



조영주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