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일반

수도권 한강 남북간 아파트값 격차 심화

최근 1년 새 한강 이남 지역의 아파트가 가격상승을 주도하며 수도권 강남·북간 아파트값 격차가 더 심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15일 한국부동산정보협회 조사에 따르면 지난 1년간(2005년 2월-2006년 2월) 서울 강남, 서초, 송파, 강동구 등 한강 남부권 11개구의 아파트값은 평균 20.5% 올라 종로, 마포, 강북, 노원구 등 한강 북부권 14개구 상승률(4.2%)보다 4.8배나 높았다. 이는 그 이전 1년간(2004년 2월-2005년 2월) 한강 북부권이 1.5% 오르고, 남부권이 오히려 3.2% 떨어진 것과 대조적이다. 경기지역도 지난 1년간 한강 남부권인 과천, 성남, 용인, 안양시 등 20개 시.군의 상승률이 14.7%로 파주, 동두천, 구리시 등 한강 북부권 11개 시.군(4.7%)보다 3배 더 오르며 상승세를 주도했다. 2004년 2월-2005년 2월에는 한강 북부권(-2.7%)과 남부권(-3.6%)이 비슷한 폭으로 하락했었다. 이런 현상은 2005년초부터 재건축과 판교 후광 효과로 서울 강남권 및 용인, 분당, 평촌 등지의 아파트값이 급등한 반면 서울과 수도권 북부는 8.31 대책 영향으로 시세가 거의 제자리 걸음을 한 때문이다. 실제 서울의 경우 지난 1년 새 송파구(30.6%), 강남구(25.8%), 서초구(28.6%)가 큰 폭으로 올랐지만 노원구(1.2%), 강북구(2.9%), 중랑구(-0.5%) 등은 보합 내지 하락세를 보였다. 경기도에선 판교 효과로 용인시가 1년 새 32.2%나 올랐고, 과천(31.2%), 성남(25.9%), 의왕(19.9%), 안양시(17.3%) 등도 높은 상승률을 기록했다. 이에 비해 수도권 북부는 뚜렷한 개발 재료가 없어 구리(-1.1%), 양주(-1.8%),의정부(-3.4%), 포천시(-5.2%) 등이 오히려 1년 전보다 하락했다. 한국부동산정보협회 박준형 실장은 "최근 들어 강남 접근성이 아파트값을 결정하는 가장 중요한 변수가 된데다, 수도권 남부에 판교 개발 등 가격을 상승시킬만한 요인이 많아 가격 양극화가 심화되고 있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