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일반

김정일 "6자회담 조속 재개 희망"

김일성 유적지 참배 행보<br>기자들 동행해 동영상 담아<br>귀국후 정통성 부각 나설듯

지난 26일부터 중국을 방문하고 있는 김정일 북한 국방위원장의 방중 동선이 속속 드러나면서 이번 방중의 성격이 3남 김정은에게로의 권력이양 분위기를 조성하기 위한 '성지순례' 측면이 강하다는 분석이 설득력을 얻고 있다.

김 위원장은 방중 닷새째인 30일 오전8시10분(한국시각 9시10분)께 전용 특별열차를 타고 헤이룽장(黑龍江)성 하얼빈(哈爾濱)역을 출발했으며 북한과 두만강을 사이에 두고 접경한 투먼(圖們)을 거쳐 이날 밤 또는 31일 새벽 귀국길에 오를 것으로 알려졌다. 이날도 투먼을 지나기에 앞서 선친인 김일성 전 주석이 항일투쟁시 속했던 동북항일연군의 항일유적지가 있는 무단장(牧丹江)에 들를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26일 첫 기착지인 지린(吉林)성 지린에서 30일 귀국 때까지 대부분의 일정이 김 전 주석의 모교 방문, 항일투쟁유적지 참배로 짜여 김 전 주석-김 위원장- 김정은으로 이어지는 부자 3대 권력승계의 정통성을 부각시키기 위한 북한 내부의 정치선전용 성격이 강하다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관련기사



특히 이전 방중 때와 달리 북한 조선중앙방송 등의 기자 수십 명이 동선을 같이 하며 김 전 주석 유적지에서 보인 김 위원장 일행의 행보를 동영상에 그대로 담은 것으로 알려졌다. 이 같은 정황에 비춰 방중 이후 김 위원장의 선친 혁명유적지 순례가 대대적으로 북한매체에 보도되며 권력승계 분위기를 한껏 돋울 것으로 예상된다. 김 위원장은 오는 9월 개최되는 노동당 대표자회의에서 김정은을 후계자로 지명할 것이라는 관측이 지배적이다.

베이징(北京)의 한 외교소식통은 이날 "이번 방중은 이동경로를 감안할 때 권력승계의 정통성을 강조하기 위한 북한 내부 정치용 성격이 짙다"고 말했다.

앞서 26일 김 위원장은 방중 첫 기착지인 지린에 도착하자마자 김 전 주석의 중학교 모교인 위원중학교를 찾았고 이어 항일유적지인 베이산(北山)공원을 참배했다. 위원중은 김 전 주석이 공산주의 사상을 흡수했으며 당시 문제교사를 추방하자며 동맹휴학을 주도했던 곳이다.

김 위원장은 창춘(長春)에서 후진타오(胡錦濤) 중국 국가주석과 정상회담을 마친 다음날인 29일 전용 특별열차를 타고 헤이룽장성 하얼빈으로 직행, 이곳에서 선친의 혁명유적지를 방문한 것으로 전해졌다. 하얼빈은 김 전 주석이 빨치산운동을 벌인 곳으로 김 전 주석도 생전인 1964년 중국방문 당시 동지들의 혁명유적지를 둘러본 바 있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