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국내 연구진, 차세대 세포 이미징 기법 개발

경희대, 서울대 공동연구로 증강현실 기술을 활용한 차세대 세포 이미징 기법이 개발됐다.

23일 이원구 경희대 기계공학과 교수는 이런 연구결과가 영국 왕립 화학회에서 발행하는 분석연구 분야 학술지 '애널리스트(Analyst)' 6월호 표지논문으로 선정됐다고 23일 밝혔다.


그 동안 세포변화를 촬영하는 '이미징'을 할 때 세포가 처음 있었던 자리를 정확하게 기록하거나 확인할 길이 없었다. 세포가 스스로 또는 외부요인으로 이동하더라도 언제, 얼마나 움직이는지를 측정하는 건 어려웠다. 같은 세포를 가지고 1주 이상 '이미징'하기 어렵다는 맹점도 있었다. 한편 이런 맹점을 악용해 연구결과를 조작하기도 쉬웠다.

관련기사



이 교수는 사용자 눈에 가상정보를 보여주는 증강현실 원리를 이용해 세포의 최초위치 정보를 연구자에게 제공하는 '미세패턴'을 제작했다. 평균 세포크기인 10㎛보다도 작은 미세패턴을 세포배양 유리관 하단 바깥쪽에 붙이면 세포의 최초 위치를 기억한 패턴이 'vvvv'라는 소프트웨어로 위치정보를 전달하게 된다. 연구자는 이 패턴이 보내는 정보를 증강현실로 전달받아 세포가 어떻게 변화하는지 정확하게 비교하고 실험할 수 있다.

이 교수는 "이번에 개발한 기법은 '랩 온 어 칩(Lab-on-a-Chip·칩 위의 실험실)' 장치에도 적용할 수 있다"며 "값비싼 세포 이미징 장비 없이도 장기간 세포 이미징을 더 쉽고 정확하게 할 수 있게 됐다"고 설명했다. 이 교수는 스마트폰 앱으로도 활용할 수 있도록 공동연구 개발을 해 '스마트폰 앱 기반 이미징 기술분야' 개척에 한발 더 다가갔다.

/디지털미디어부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