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교육·문체부 업무보고] 유휴시설 20곳 복합문화센터 탈바꿈 … '생활 속 문화' 확산

■ 문체부

문화누리카드 144만명 혜택

콘텐츠 창작·창업 지원 강화


일상 속에 문화를 누리고 즐기는 환경을 만들기 위해 지역의 유휴시설이나 노후시설 20개소가 도서관이나 공연장·전시장 등으로 활용할 수 있는 '생활문화센터'로 탈바꿈한다.

유진룡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은 13일 오전 이 같은 내용을 담은 2014년도 업무계획을 박근혜 대통령에게 보고했다. 문체부의 올해 사업의 핵심은 국민이 생활 속에서 더욱 쉽게 문화융성을 체감할 수 있도록 현장 중심의 문화 정책을 펼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국민 문화체감 확대 △인문·전통의 재발견 △문화기반 서비스산업 육성 △문화가치의 확산 등 4대 전략과 13개 주요 정책 과제를 추진할 방침이다.


가장 눈길 끄는 대목은 120억원의 예산을 들여 총 20개소의 생활문화센터를 조성하는 등 생활권에 기반한 복합문화활동 공간을 만드는 것이다. 지역 유휴시설 및 노후 문화시설을 작은 도서관·공연장·연습실 등으로 활용할 수 있게 하는 정책이다. 작은 영화관, 인디뮤지션 연습 창작공간인 음악창작소, 찾아가는 체육관 등 기존 정책과 함께 국민이 문화·스포츠를 즐기는 데 기여할 것이라는 게 문체부의 설명이다.

관련기사



이와 함께 인문·정신문화 진흥을 위해 문체부 내에 인문정신문화과를 신설하고 인문·정신문화진흥법 제정을 추진하기로 했다. 문화취약계층의 향유 기회를 늘리기 위해 문화·여행·스포츠 이용권을 통합한 '문화누리카드'도 발급한다. 가구당 10만원씩 총 144만명이 혜택을 입을 것으로 보인다.

문화 분야에서 창의적인 일자리를 창출하는 데도 힘쓰기로 했다. 콘텐츠 분야를 제작, 기획, 유통 분야 등으로 세분화해 분야별 전문가 양성 시스템을 갖추는 한편 콘텐츠 유망 직업군을 발굴해 창작·창업 지원을 강화할 방침이다. 특히 상반기 중 민관 매칭 일자리기금 조성을 추진해 '콘텐츠 청년 인턴제'를 활성화하기로 했다.

한글·아리랑·태권도를 3대 브랜드로 삼아 한류 확산의 첨병으로 내세울 계획이다. 뉴욕코리아센터(2015년), 파리코리아센터(2016년) 설립과 아울러 인도네시아 자카르타에도 코리아센터 설립을 추진한다.

관광 분야에서는 복합리조트, 의료관광, 국제회의·관광·컨벤션·전시회(MICE·마이스), 한류관광 등 4대 전략 분야를 집중 육성한다. 특히 복합리조트와 관련해서는 사전심사 또는 공모를 통한 대규모 한국형 복합리조트를 개발하는 방안을 모색한다. 체육 분야에서는 우수체력 인증자를 대상으로 민간보험 보험료 할인 혜택을 제공하는 방안을 추진한다. 전문체육인·생활체육참여자 등을 대상으로 한 스포츠보험을 제도화하고 체육시설별 안전과 위생 기준도 재정비한다.

문체부는 이를 통해 올해 말 문화예술관람률이 73.7%(2013년 69.6%)로 높아지고 문화예술교육 참여자는 260만명(2013년 215만명)으로 늘고 콘텐츠산업 매출액도 98조원(2013년 91조5,000억원)으로 증가할 것으로 전망했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