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30년 12월11일, 뉴욕금융시장에 한파가 닥쳤다. 유나이티드스테이츠은행의 파산 때문이다. 1929년 주가 대폭락 이후 1년 사이에 망해버린 1,352개 소형 은행과 US은행의 파산은 격이 달랐다. 무엇보다 규모가 컸다. 뉴욕의 네번째 대형 은행인 US은행의 파산은 미국 건국 이래 가장 큰 규모의 은행 파산이었다. 도산 이유는 주가 폭락에 대한 전반전인 자산 가격 하락. 보유 담보물의 실제가치도 급락하자 예금인출로 이어졌다. 사태를 결정적으로 악화시킨 것은 모건 등 월가 자본가들의 협조융자 거부. 금융 당국의 종용에도 모건 등은 US은행을 외면했다. 순수 민간은행이면서도 국립은행으로 혼동하기 쉬운 거창한 상호를 써 시민들을 현혹시켜온 US은행의 영업행태가 비난을 받아온데다 금융황제 모건이 끔찍하게 싫어하던 유대계 자본이어서 US은행은 기댈 곳이 없었다. 월가의 판단착오가 초래한 결과는 연쇄도산. 시골 은행이나 문을 닫는 줄 알았던 고객들이 US은행의 소식을 듣고는 너나 없이 예금을 빼가는 통에 3년간 8,700여개 은행이 망해버렸다. 마침 후버 대통령이 제조업 보호를 명분으로 ‘공화당의 상비약’인 관세인상(홀리-스뮤트 관세법)을 단행한 후유증으로 위축된 무역과 은행 연쇄파산이 맞물려 불황의 골은 더욱 깊어졌다. 은행 불신풍조는 바다를 넘었다. 이듬해 5월 오스트리아에서 위기가 발생해 독일을 거쳐 9월 영국까지 퍼졌다. 견디다 못한 영국은 ‘신용의 상징’이었던 금본위제도를 포기하기에 이르렀다. 영국의 위기는 다시 무역축소라는 악순환으로 반복되며 인류는 전세계 동시불황으로 빠져들어갔다. US은행의 파산은 세계 대공황의 도화선이었던 셈이다. 감정이 실린 자금흐름은 파국으로 이어지게 마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