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일반

소비세 인상 한달 앞두고 日경제 들썩

반짝 수요로 생산·고용 등 호전

임금보다 물가상승 훨씬 빨라

4월 이후엔 마이너스 성장 우려


소비세율 인상을 앞둔 '반짝' 수요가 몰리면서 일본 경제 전반이 들썩이고 있다. 세율이 오르기 전에 값비싼 물품을 사두려는 소비자들의 발걸음이 바빠지면서 물가와 생산은 물론 고용도 눈에 띄게 호전됐다. 그러나 임금보다 물가가 빠르게 오르고 있어 오는 4월 소비세율 인상이 단행되면 마이너스 성장으로 돌아설 것으로 예상된다.

일본 총무성이 28일 발표한 1월 가계조사에 따르면 2인 이상 가구의 실질 소비지출(물가상승 감안)은 전년동월 대비 1.1% 증가했다. 같은 기간 소매업 판매액은 11조7,320억엔으로 전년동월비 4.4% 증가해 1월 한달 기준으로는 통계 비교가 가능한 1980년 이래 최대 증가폭을 보였다. 자동차와 가전제품 수요가 크게 늘어난 덕이다.

늘어난 소비는 물가회복은 물론 생산과 고용 증대로 이어졌다. 경제산업성이 이날 발표한 1월 광공업생산은 예상치(3%)보다 큰 4%의 증가율을 나타냈으며 구직자 대비 구인자 비율을 나타내는 유효구인배율은 1.04배로 2007년 8월 이후 6년5개월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신선식품을 제외한 1월 소비자물가지수 상승률은 1.3%를 기록해 2008년 이후 처음으로 3개월 연속 1%를 넘어섰다.


올 들어 일본 경기지표가 일제히 들썩이는 배경은 한달 앞으로 다가온 소비세율 인상이다. 일본 정부는 4월1일부터 현재 5%인 소비세율을 8%로 끌어올릴 예정이다. 조금이라도 싼 가격에 미리 물건을 사두려는 수요가 늘면서 고가품을 중심으로 소비가 급증하고 있는 것이다.

관련기사



지난 한달 동안 가계소비 지출에서 냉장고 구입에 들인 돈은 1년 전보다 무려 3배 가까이 많은 것으로 집계됐다. 주택수리 등 주거 관련비용 지출도 14% 이상 뛰었다.

일본 전통의상인 '기모노' 등 고가의류 구입도 늘었다. 머지않아 구입할 계획이 있던 소비자들이 세율인상을 계기로 미리 장만해둔 것으로 풀이된다. 이러한 소비자심리를 의식해 백화점 등 유통업계도 저장 가능한 식품이나 생활용품, 고가 장신구 등에 대한 마케팅을 강화하고 있다.

문제는 한달 뒤다. 지난해 말부터 자동차와 가전·의복부터 식품까지 온갖 물품을 사놓은 소비자들은 세율인상 이후 지갑을 닫을 것으로 예상된다. 중앙은행인 일본은행조차 세율인상 이후 소비급감으로 4~6월에 일시적인 마이너스 성장이 불가피하다는 인식을 내비칠 정도다. 일본은행의 이시다 고이치 심의위원은 최근 한 강연에서 이 같은 전망을 밝혔다. 그는 "수출이 일시적인 경기하락을 보완하면서 경기회복 추세가 주춤해지는 일은 없을 것"이라고 설명했으나 신흥국의 경기부진이 이어지는 가운데 수출이 증세 이후의 경기를 견인할 수 있을지는 불투명한 실정이다.

특히 1월 근로자 가구의 물가를 감안한 실질소득이 전년동월비 0.6% 감소에 그치는 등 임금보다 물가가 훨씬 빠른 속도로 올라 세율인상을 앞둔 대대적인 쇼핑이 일단락되면 소비심리가 급속도로 얼어붙을 가능성이 크다. IG마켓의 크리스 웨스턴 수석 전략가는 CNBC와의 인터뷰에서 일본의 경기지표 호전에도 불구하고 "물가조정과 임금하락은 우려스러운 대목"이라고 경고했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