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본격적인 겨울스포츠 시즌이 다가왔다. 전국의 스키장은 매서운 추위에도 아랑곳하지 않고 스키의 즐거움을 만끽하려는 스키와 스노보드 마니아들로 북적이고 있다. 하지만 스키와 스노보드 같은 스피디한 겨울스포츠의 경우 즐거움이 큰 만큼 부상 우려도 크다. 자칫 방심하다 부상을 입어 1년간 기다려온 스키를 즐길 수 없게 되는 불상사가 생길 수 있다. 스키장에서의 부상방지법 및 건강관리요령을 알아본다. ◇매서운 칼바람, 동상ㆍ저체온증 주의해야=매서운 칼바람이 부는 스키장에서는 무엇보다 체온관리에 신경 써야 한다. 저체온증은 체온이 35도 이하로 떨어질 때 나타나는 질환으로 몸의 세포와 장기의 기능에 장애가 오며 체온이 32도 이하인 경우에는 생명이 위태로울 수 있다. 체온이 과도하게 내려가는 것을 예방하려면 바람을 잘 차단해줄 수 있고 눈으로 젖는 것을 방지해줄 수 있는 보온이 잘되는 스키복과 모자ㆍ귀마개ㆍ장갑 등을 착용해야 한다. 오범진 서울아산병원 응급의학과 교수는 "스키를 타는 도중 휴식을 취하면서 손목ㆍ발목ㆍ목 주위로 바람이 들어와 체온이 급격히 떨어질 수 있다. 따라서 덥다고 옷을 벗어 목 부위를 노출시키는 등의 행동은 삼가야 한다"고 당부했다. 규칙적으로 휴식을 취해야 하며 오한이 느껴질 때는 즉시 스키를 멈추고 따뜻한 실내로 들어가 몸을 녹이는 것이 좋다. 따뜻한 물이나 차를 수시로 먹는 것도 좋다. 손발에 생기는 동상도 주의해야 한다. 동상은 손가락ㆍ발가락ㆍ귀ㆍ코ㆍ볼과 같은 말단 조직의 온도가 0도 이하로 떨어질 때 일어난다. 동상이 걸린 부위는 피부조직이 상한 상태여서 문지르거나 비비면 안 된다. 2~3시간 간격으로 휴식을 취할 때 신발을 벗고 손으로 발가락을 주물러줘 혈액순환이 잘되게 해주는 것이 좋다. 동상이 걸린 부위는 창백해졌다가도 따뜻하게 해주면 가벼운 홍반을 동반하며 수일간 부어오르다 차차 좋아진다. 동상에 걸렸다면 응급처치로 동상 부위를 즉시 40도 정도의 따뜻한 물에 20∼30분간 담가준다. 혈관을 이완시켜 혈액순환을 원활하게 하고 세포 사이의 결빙을 풀어주는 데 도움이 된다. 양말이 젖지 않도록 여벌을 준비해 스키 도중에라도 자주 갈아 신어주고 스키 후에는 따뜻한 물로 족욕 등을 하는 것이 동상을 예방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 ◇자외선 차단에 신경 써야=스키장에서는 자외선과 차가운 바람에 주의해야 한다. 겨울철 자외선은 여름에 비해 강도가 약하다고 생각하기 쉽지만 눈 위에서라면 사정이 다르다. 모래사장의 햇빛 반사율은 5~20% 정도지만 눈이나 얼음판은 85~90%나 된다. 스키어들은 한여름 해변가의 약 4배나 되는 자외선에 노출되는 셈이다. 따라서 스키를 타기 30분 전에 반드시 차단지수(SPF) 30 이상의 자외선차단제를 두껍게 발라야 기미ㆍ주근깨 등의 뒤탈이 없다. 장시간 스키를 탈 경우에는 2~3시간 간격으로 자외선차단제를 덧발라줘야 한다. 또 UV코팅이 된 고글을 반드시 착용해 피부층이 얇고 건조해 주름이 쉽게 생기는 눈가를 보호해야 한다. ◇골절 및 치아부상 주의해야=추울 때는 근육이 경직되며 유연성이 떨어져 가볍게 미끄러져도 골절이 발생할 확률이 높다. 스키에 따른 부상은 주로 무릎, 머리, 손과 손가락, 어깨 순으로 많이 발생한다. 엉덩이뼈 윗부분이 잘 부러지며 무릎을 지탱해주는 전방십자인대 손상도 흔하다. 무릎 앞 전방십자인대 손상은 대개 넘어지는 자세가 불안정해 발생한다. 스키 초보자는 넘어지는 횟수가 많은 만큼 주의해야 한다. 특히 갈수록 스노보드를 즐기는 인구가 많아지고 있는데 스노보드의 경우 손과 팔로 방향을 잡기 때문에 손목부상이나 팔 골절이 많은 만큼 조심해야 한다. 척추골절은 넘어지거나 주저앉을 때의 충격으로 척추가 압박을 받아 생긴다. 관절에 부상을 입었을 경우 섣불리 부상 부위를 건드리거나 함부로 비틀면 부상이 심해지거나 연부조직ㆍ뼈ㆍ인대ㆍ근육 등 주요 조직마저 크게 손상돼 후유증이 남을 수 있다. 외관상 뚜렷하지 않은 관절 부위의 부종ㆍ동통이 있는 경우에도 스키 타는 것을 중지해야 더 큰 손상을 막을 수 있다. 엄지 손가락 부상도 주의해야 한다. 넘어지는 순간 스키 폴의 끈이 엄지 손가락에 휘말리면서 발생하므로 손이 슬로프에 닿기 전에 폴을 버려야 한다. 또 스노보드는 옆으로 넘어지는 스키와 달리 수직 방향으로 넘어지기 때문에 엉덩이 뼈와 허리에 금이 가거나 부러지는 등 척추 골절이 발생할 수 있다. 척추 골절은 심하면 하반신 마비까지 일으킬 수 있기 때문에 매우 주의해야 한다. 따라서 스노보드를 탈 때 억지로 넘어지지 않으려고 하지 말고 앉는 자세를 취하면서 서서히 주저앉는 것이 좋다. 부상 방지를 위해 헬멧이나 손목ㆍ무릎 패드 등 보호장비는 반드시 착용해야 한다. 이 같은 부상을 막으려면 스키나 스노보드를 타기 전 10분 이상 스트레칭으로 관절과 근육을 유연하게 풀어줘야 한다. 한편 스키장에서는 큰 충돌로 치아손상이 발생할 수 있다. 가장 흔히 발생하는 치아 외상은 위 앞니가 빠지는 것이다. 이 경우 빠진 치아를 생리식염수나 우유에 담아 1시간 안에 치과에 가면 치아를 살릴 수 있다. 치과에 빨리 갈수록 치아의 생존율이 높아진다.
-잘 다치는 것도 기술이다. 특히 넘어지는 것을 창피하게 생각하는 사람이 많은데 스키장에서 진정한 고수는 잘 넘어져 부상을 덜 당하는 사람이다. 넘어지는 순간에는 앉는 자세를 취하며 체중을 엉덩이 쪽으로 실리게 해 서서히 주저앉는 것이 좋다. 무릎을 약간 구부려야 무릎 손상을 줄일 수 있다. 2. 준비운동을 소홀히 하지 마라. -처음 스키를 타기 전 15~30분 정도 적당하게 땀이 날 정도로 준비운동을 하는 것이 좋다. 특히 스트레칭을 통해 근육을 풀어주는 것을 잊지 말아야 한다. 스키를 끝낸 후에도 정리운동을 하면 다음날 더욱 편안하게 스키를 즐길 수 있다. 3. 슬로프 상태를 미리 알고 타라. -눈의 상태, 날씨 등 조건이 나쁘면 한두 단계 낮은 코스를 이용하는 것이 즐겁게 스키를 타는 방법 중 하나이다. 특히 눈이 녹았다 얼어 빙판이 된 곳, 눈이 일부 녹은 곳에서 부상이 많은 만큼 안전요원 등에게 확인해 당일의 슬로프 상태를 미리 점검하는 것이 좋다. 4. 몸이 피곤해지면 즉시 휴식하라. -2시간 스키를 탄 후에는 반드시 10~30분 정도 휴식을 취해야 한다. 또한 활강하고 있다고 하더라도 몸에 이상을 느끼면 옆의 안전지대로 걸어 내려오는 것이 좋다. 5. 평소에 운동을 통해 충분한 체력을 유지해라. -스키는 대퇴부와 둔부ㆍ복부 근육을 이용하므로 평소 이 부위를 단련해놓는 것이 좋다. 1년여의 오랜 기다림 끝에 타는 스키라 자신의 평소 체력을 생각하지 않고 무리하는 경우가 많은데 스키를 타면 심폐기능ㆍ관절ㆍ근육 등에 자극이 가해지므로 충분한 체력을 유지하고 스키장으로 향해야 한다. 6. 필요 장비를 확실히 점검하라. -바인더가 넘어질 때 잘 풀려야 하며 고글 등의 장비를 갖춰야 한다. 초보자는 넘어지면서 머리 보호를 위해 헬멧을 착용해야 하며 발이나 발목이 움직일 정도로 큰 부츠는 피해야 한다. 7. 기본 트레이닝(스키 타는 기술습득)을 열심히 해라. -전문가처럼 멋지게 스키를 타기 위한 기술도 좋지만 반드시 일어서서 안정된 자세로 나아갈 수 있고 안전하게 멈추는 법, 넘어지는 법 등을 배워야 한다. 8. 음주스키는 금물 -음주 상태에서는 순발력이 떨어지고 순간 판단력이 둔화돼 반응속도가 늦어진다. 모처럼 친구ㆍ연인과 스키장에서 즐거운 시간을 보내며 술을 마시고 기분에 취해 스키를 타려는 사람이 많은데 음주는 평소보다 배 이상의 부상을 입을 확률이 많은 만큼 삼가야 한다. 9. 자기 능력에 맞는 슬로프에서 타라. -슬로프의 경사에 따라 속도의 차이가 크다. 고난이도의 슬로프 욕심을 내다 다른 사람과 충돌해 남에게까지 피해를 주는 경우가 많은 만큼 스키장에서는 절제의 미덕이 필요하다. 10. 과거의 다친 경험을 잊어버려라. -과거 부상의 원인을 분석하고 재발하지 않도록 주의하는 것은 좋지만 과거의 다친 경험에 지레 겁먹고 공포를 느끼며 스키를 타면 심리적 불안감을 야기시킨다. 또 몸이 경직되기 쉽고 신체 반응 속도가 떨어져 부상 위험을 증가시킨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