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한은 "디플레이션 가능성 희박"

우리나라 경제가 '디플레이션'에 빠질 가능성이 희박하다는 분석이 나왔다. 디플레이션은 물가상승률이 '마이너스'를 보이는 상태로 장기 불황으로 인식돼 경제주체들의 심리적 불안을 심화시키고 일반적으로 자산가격 하락을 동반하면서 경제에 타격을 준다. 김웅 한국은행 금융경제연구원 과장은 18일 '우리나라에서의 디플레이션 발생 위험 평가' 보고서에서 "국제통화기금(IMF)의 취약성 지수, 장래 인플레이션 확률 분포, 품목별 가격변화 분포특징 등을 기준으로 각각 분석한 결과 지난해 말 현재 디플레이션 가능성은 매우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그는 "디플레이션이 본격화되려면 경제주체들의 인플레이션 기대심리가 마이너스로 돌아서야 하는데 실증분석 결과를 보면 그 가능성도 크지 않다"며 "국내외 주요 기관들도 올해 우리나라 성장률을 하향 조정하면서도 물가상승률을 '플러스'로 전망하는 등 디플레이션 가능성을 낮게 보고 있다"고 강조했다. 김 과장은 "올해 인플레이션 리스크는 지난해보다 낮아지고 디플레이션 리스크는 다소 커질 것"이라며 "하지만 아직은 물가상승률이 물가안정목표(2.5~3.5%) 하한 아래로 떨어지는 것보다는 상한 위로 상승할 가능성이 더 크다"고 분석했다. 반면 미국과 일본은 디플레이션에 진입할 가능성이 있다고 진단했다. 특히 일본은 디플레이션에 빠질 위험이 인플레이션 위험에 비해 4배 큰 것으로 추정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