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부동산일반

서울에서 ‘내집’은 41% … 전국서 꼴찌

서울에서 내집에 사는 가구의 비중은 41%에 불과, 전국에서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부동산정보업체 부동산써브는 국토해양부의 올해 국토해양 통계연보를 바탕으로 전국 행정구역별 주택 점유형태 비중을 분석한 결과 서울의 자가점유율은 41.2%로, 전국에서 가장 낮았다고 27일 밝혔다. 반면 전세가구 비중은 32.8%로 전국에서 가장 많았다. 전국 1,733만9,558가구 중 자기 집에 사는 가구는 940만6,893가구로 전체의 54.3%를 차지했다. 전세 가구는 21.7%였고 보증부월세와 순수월세, 사글세 등 월세 가구는 21.4%로 전ㆍ월세 비중이 비슷했다. 자가점유율 꼴찌이자 전세가구 비중이 가장 높은 서울과 함께, 경기도와 인천시의 전세 비중도 각각 27.9%, 22.9%로 수도권 전 지역이 전국 평균 전세 비율(21.7%)을 웃돌았다. 전국에서 자가점유율이 가장 높은 곳은 전남으로 70.7%나 됐다. 제주도는 전국에서 전세 비중이 가장 낮고 월세 비중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총 18만7,326가구 중 전세는 1만762가구(5.7%)에 그쳤지만 월세는 5만5,835가구(29.8%)로 전세의 5배에 달했다. 대전(26.9%), 서울(24.6%), 광주(23.8%), 대구(22.4%), 울산시(22.4%)와 강원도(21.6%) 등지에서도 월세 비중이 높았다. 부동산써브 측은 “반전세 등 월세 점유형태가 확산되면서 월세가 전세만큼이나 일반화되는 가운데 지역별로는 소득과 주택가격 수준, 지방색에 따라 점유형태가 확연히 갈리고 있다”고 말했다. /온라인뉴스부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