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은행권 엔화대출 갈수록 준다

이달 잔액 8,600억엔…한달반새 2,700억엔 '뚝'<br>환율 상승따라 환차손 우려 기업들 상환 잇달아


원ㆍ엔 환율이 상승할 것으로 전망되는 가운데 은행권의 엔화 대출 잔액이 계속 감소하고 있다. 17일 금융계에 따르면 금리가 아주 낮지만 원ㆍ엔 환율이 추가로 상승, 환차손을 가져올 것이라는 우려로 엔화대출을 상환하는 기업들이 늘어남에 따라 엔화대출 잔액도 줄어드는 추세다. 국민ㆍ우리ㆍ신한ㆍ하나ㆍ기업은행 등 5개 주요 은행의 엔화대출 잔액은 지난 15일 현재 8,684억엔으로 전월 말에 비해 57억엔 감소했다. 이는 특히 엔화대출이 정점에 달했던 2006년 11월 말에 비해서는 2,751억엔(24.1%)이나 줄어든 것이다. 엔화대출이 줄어들고 있는 데는 금융당국의 규제가 큰 역할을 하고 있다. 이들 5개 은행의 엔화 대출은 2005년 말 7,310억엔에서 2006년 11월 말 1조1,435억엔으로 무려 4,125억엔(56.4%)이나 늘어났지만 한국은행과 금융감독원이 외화대출 공동 검사에 나서면서 감소세로 전환됐다. 특히 최근 들어 원ㆍ엔 환율이 불안정한 모습을 보이면서 엔화대출이 줄어드는 또 다른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엔화 대출은 금리가 1~3% 수준으로 원화 대출보다 크게 낮지만 원ㆍ엔 환율이 급등할 경우 막대한 환차손을 입을 수 있다. 지난해 7월 100엔당 740원대로 급락한 뒤 오름세로 돌아선 원ㆍ엔 환율은 15일 885원80전을 기록하며 2년 2개월 만에 880원대로 올라섰다. 만약 지난해 7월 엔화로 100억원(13억5,000만엔)을 빌렸다면 상환해야 할 원금이 119억7,000만원으로 19억7,000만원이나 늘어났다. 시중은행의 한 관계자는 “올 상반기까지는 원ㆍ엔 환율의 변동성이 확대될 수 있기 때문에 엔화 현금흐름이 없는 기업들은 신규 대출을 자제하는 게 바람직하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