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평창올림픽 유치전에도 '천군만마'

[이건희 前회장 경영복귀] 국제 스포츠계 영향력 막대… '회장 타이틀' 앞세워 활동폭 넓힐듯

이건희 삼성 회장의 복귀를 계기로 평창동계올림픽 유치도 한층 탄력을 받을 것으로 전망된다. 삼성전자가 올림픽의 중요 스폰서라는 점에서 '삼성전자 회장'이라는 명함에 상당한 무게가 실릴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이다. 이인용 삼성 부사장은 24일 이 회장의 복귀를 발표하면서 "평창동계올림픽 유치활동에도 오히려 도움이 될 것이라고 생각한다"며 "사실 유치활동에 삼성전자 회장이라는 타이틀이 힘이 된다"고 말했다. 실제로 이 회장이 국제 스포츠계에 미치는 영향력은 막대하다는 게 중론이다. 스포츠계는 지난 2월 이 회장이 국제올림픽위원회(IOC) 위원으로 복귀할 때도 '천군만마'라고까지 표현했다. 이 회장의 복귀 전까지 한국은 IOC 위원 수와 지명도ㆍ인맥 등에서 2018년 동계올림픽 유치의 라이벌 도시인 독일 뮌헨과 프랑스 안시에 크게 밀렸다는 게 대체적인 분석이다. 대륙별 IOC 위원이 가장 많은 유럽에 속해 있는 독일은 IOC 위원이 세 명이고 프랑스는 두 명이다. 그동안 태권도 금메달리스트 출신으로 선수위원인 문대성 위원만 활동했던 한국은 열세를 만회하기 힘들었던 것으로 전해졌다. 하지만 이제 국제 무대에서 영향력과 지명도가 높은 이 회장이 삼성전자 회장 타이틀까지 달면서 본격적으로 유치전을 펼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앞서 이 회장은 1월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렸던 세계 최대 멀티미디어 가전전시회 CES 2010에도 전·현직 IOC 위원 세 명을 초청해 삼성전자 전시관을 둘러본 뒤 만찬을 함께하는 등 삼성전자를 올림픽 유치활동의 주요 무기로 삼기도 했다. 경영 복귀 이후 이 회장은 그룹 경영에도 상당 부분 관여할 것으로 보이지만 동계올림픽 유치에 전념할 것으로 보인다. 삼성의 한 관계자는 "이 회장이 경영에 복귀할 수 있었던 것은 국민들이 이 회장의 사면을 통해 동계올림픽이 유치되기를 간절히 원했기 때문"이라며 "삼성의 경영도 중요하지만 올림픽 유치를 보다 먼저 생각할 것"이라고 전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