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토요 산책] 동학농민혁명 기념일 결론내자


동학농민혁명은 사회개혁과 반 침략의 기치를 내걸고 일어난 민중운동이며 근대국가의 근간인 자주와 평등을 향한 혁명운동으로 근대 민중운동의 효시로 평가 받고 있다. 혁명 참여자의 애국애족 정신을 계승ㆍ발전시키고 원활한 기념사업을 수행하기 위해 기념일 제정이 필요하다는 공감대도 형성돼 있다. 기념일 제정과 관련해 그동안 여러 단체들이 활동을 전개해왔다. 지난 2004년 3월5일 '동학농민혁명 참여자 등의 명예회복에 관한 특별법'이 공포된 후 정부가 주도하는 기념사업들이 펼쳐지고 있지만 기념일 제정은 8년째 표류하고 있어 지역 중심 연중행사가 중복되고 혼선을 빚고 있다. 무장기포일 지지 가장 많아 당시 동학농민혁명기념재단(이사장 이이화)과 기념사업단체협의회는 지역ㆍ단체와는 무관한 연구자를 중심으로 학술적 논의를 거쳐 기념일을 정하기로 하고 세 차례 토론회를 마치고 무장기포일(茂長起包日ㆍ전북 고창군 무장지역 농민 등이 동학의 조직인 包를 중심으로 하여 봉기한 날)인 1894년 4월25일(음력 3월20일)을 기념일로 결정해놓고도 정치적 혹은 지역문화적 상황 때문에 확정하지 못했다. 무장기포는 관리들의 수탈과 학정에 분노한 농민들이 전봉준 등 동학농민군 지도부의 창의문(포고문) 발표를 계기로 봉기, 고창ㆍ부안ㆍ고부ㆍ태인 등으로 진군해 지금의 정읍시 덕천면 황토현(해발 35.5m의 야트막한 고개)에서 관군을 대파함으로써 전국적인 동학농민혁명으로 발전하는 계기가 됐다. 동학농민혁명유족회(회장 김성황)는 지난해 9월4일 전국 대의원 총회에서 무장기포일을 기념일로 의결하고 올해 4월25일 세종문화회관에서 25개 단체와 더불어 처음으로 전국적인 기념대회를 개최했다. 지난해 문화체육관광부 특수법인으로 출범한 동학농민혁명기념재단(이사장 김영석)은 기념일 제정과 관련, 민간재단 주도로 논의한 성과를 유보하고 다시 기념사업단체 대표자회의를 소집해 새로운 추진방법과 일정을 마련했다. 재단은 동학 전공자와 각계 인사 23명(재단 5, 유족회 2, 지역단체 추천 16)을 추천 받아 기념일제정추진위원회(위원장 신순철ㆍ원광대 부총장)를 구성하고 위원회에 모든 권한을 위임했다. 기념일제정추진위원회가 1ㆍ2차 회의를 개최하고 위원들을 대상으로 기념일 제안일자를 서면으로 제출 받은 결과 무장기포일 8명, 황토현 전승일 2명, 특별법 공포일 1명, 고부봉기일 2명, 우금치 전투일 2명, 전주성 입성일 1명 등으로 무장기포일(4월25일)이 다수의 지지를 받았다. 새 출범한 추진위원회의 대세가 무장기포일로 기울자 또다시 일부 지역에서 반발해 이번에도 표류될까 두렵다. 동학농민혁명 기념일 제정은 원활한 기념사업 수행과 명예회복을 위해 하루빨리 반드시 제정돼야 할 긴급한 사안이다. 지역 이기주의 과감히 버려야 동학농민혁명은 전국적인 봉기라는 특성 때문에 지역마다 연고가 깊다. 지역 입장에서 보면 모두가 성지요, 소중한 장소라 아니할 수 없을 것이다. 기념일 제정은 역사성ㆍ상징성ㆍ전국성에 근거하여 다른 역사적 사건의 기념일과 걸맞게 올바른 날짜로 정해야 할 것이다. 전국의 모든 기념단체, 그리고 동학농민혁명을 지지하고 따르는 국민들은 지역 이기심과 지역적 이해에 매몰되지 않기를 바란다. 동학농민혁명기념재단과 동학농민혁명기념일제정추진위원회, 전국의 지역 기념사업회 등은 기념일 제정이 일정대로 원활히 추진될 수 있도록 서로 협조하는 것이 동학농민혁명의 실질적 명예회복을 앞당기는 지름길이 될 것이다. 재단에서 천명한 대로 기념일 제정은 올해 안에 결말을 내야 한다. 이번에 또다시 지역이기주의에 밀려 표류하게 된다면 유족의 입장에서 발목을 잡은 단체나 인사는 후세에 준엄한 역사의 심판을 받을 것이라는 점을 밝혀둔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