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빅딜1호' 철도차량 좌초위기

빅딜 1호인 한국철도차량㈜이 출범 9개월이 지났지만 출자 3사와 채권단간 부실자산 회수에 대한 이견으로 금융지원을 제대로 받지 못해 절음발이 경영을 면치 못하고 있다.29일 관련업체와 금융계에 따르면 외환은행 등 채권은행단은 최근 현대정공, 대우중공업, 한진중공업 등 출자 3사에 공문을 보내 오는 31일까지 부실자산 처리안을 결정하지 못할 경우 빅딜 중재를 하지 않겠다고 통보했다. 채권단이 실사를 통해 부실로 분류한 자산은 한진의 상주공장(평가액 322억원), 현대의 영업권(350억원), 통합전 수주물량의 예상손실분(612억원) 등 1,284억원이다. 채권단은 이 부실자산을 3사가 공동분담해 회수해 갈 것을 요구했으나 3사는 회수에 따른 손실부담 등을 우려해 아직 결정을 못내리고 있다. 채권단 주간사은행인 외환은행 기업여신부 김병호 과장은 『3사가 부실자산 분담방안을 놓고 제각각의 목소리를 내고 있어 결론이 나지 않고 있는 것으로 알고 있다』며『이달말까지 합의안이 나오지 않으면 다른 대처방안을 찾을 수 밖에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합의실패시 대처방안으로는 구조조정위원회의 중재가 유력하게 거론되고 있다. 사태 장기화 여파로 한국철차에 대한 금융지원은 지지부진, 정상 경영에 상당한 차질을 빚고 있다. 차입금 지원과 출자전환이 전혀 이뤄지지 않고 당좌대월 등의 한도 미약정으로 단기운영자금을 조달받지 못하는 등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철도차량 기획실 관계자는 전했다. 따라서 한국철도차량이 좌초되지 않으려면 사태해결이 최선이지만 합의전이라도 채권단의 금융지원이 선행돼야 한다고 철도차량측은 강조했다. 현재 출자 3사는 최악의 경우 부실자산을 회수하는데는 의견을 같이하고 있지만 각사가 제시하는 분담비율은 상당한 차이를 보이고 있다. 자본금 출자비율대로 분담할지, 동등하게 분담할지, 부실자산을 내놓은 쪽이 해당자산을 그대로 떠안을지 등 여러가지 방안을 두고 논란을 거듭중이다. 각사들은 되도록 회수분을 적게 떠안아 손실부담을 최소화하는게 급선무인 입장이다. 채권단은 처음에는 부실자산 회수분에 상당하는 우량자산을 재양도하도록 하려고 했지만 워크아웃중인 대우측의 부담능력과 공정위의 부정적인 의견제시로 이 방안을 철회했다. 공정위는 우량자산 대처방안 추진시 워크아웃중인 대우측이 우량자산을 내놓지 못하고 현대와 한진 두 업체만 참여할 소지가 많아 이 경우 현대측의 지분증가로 철도차량을 계열사로 편입해야 하는 문제가 발생한다며 부정적인 견해를 내놓았다. 채권단은 부실자산을 떨어내지 못할 경우 한국철도차량의 부채비율이 높아지는 등 재무구조가 악화, 정상화에 필요한 비용이 클 수밖에 없다는 점을 우려했다. 임석훈기자SHIM@SED.CO.KR 입력시간 2000/03/29 21:15

관련기사



임석훈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