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中企정책자금도 투자개념 도입 지원기업 이익따라 금리 차등

송종호 중진공 이사장 밝혀

내년부터 중소기업 정책자금에도 투자개념이 도입돼 이익규모에 따라 금리가 차등 적용된다. 이로써 신기술 창업기업 등은 보다 낮은 이자로 정책자금을 활용할 수 있게 됐다. 송종호 중소기업진흥공단 이사장은 최근 서울경제신문과 인터뷰를 갖고 "도전적인 창업문화를 확산시키기 위해 내년에 창업기업에 대한 직접대출 비중을 60%까지 끌어올릴 것"이라며 "이중 1,000억원의 중소기업 지원예산을 편성해 '투융자 복합금융사업'을 처음으로 선보일 예정"이라고 밝혔다. 투융자 복합금융사업이란 신기술 보유기업의 자금부담을 덜어주기 위해 지원기업의 영업실적과 연동해 이익을 공유하는 일종의 하이브리드형 대출로 금리를 지원기업의 실적에 따라 최저 0%에서 최대 8%까지 차등 적용하는 것이다. 이자는 대출시점에서 자금별ㆍ등급별 심사를 거친 신용대출금리의 고정이자에 이익연동이자를 합쳐 산정된다. 이익공유 비율은 영업이익의 3% 수준이며 만약 영업손실이 발생하면 이자를 내지 않아도 된다. 반면 해당 기업이 이익을 내면 대출원금의 40%(고정이자 포함) 범위에서 최대 8% 수준의 금리를 부담해야 한다. 현재 중소기업 정책자금 금리는 4~5% 수준에서 운용되고 있다. 중진공은 자금집행의 공정성을 위해 별도의 회계법인을 지정하고 회계실사를 통한 손익 적정성을 확인하는 과정을 거칠 계획이다. 송 이사장은 "미국의 경우 중소기업 및 벤처기업에 대한 투자 비중이 국내총생산(GDP)의 2.5%에 이르지만 한국은 2000년 벤처붐 당시에도 1.2% 수준에 머물렀다"며 "투융자 복합사업이 과감한 벤처투자를 꺼리는 보수적인 국내 투자문화에도 새로운 바람을 불러일으킬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