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사내칼럼

[기자의 눈] 남북경협의 새로운 출발

“1단계 사업 부지에 입주하는 기업들에 필요한 인력도 적지 않은 데 인력 공급에는 문제가 없습니까.” “북한 근로자 임금이 갑자기 인상된다든가 하는 상황은 분명히 없는 겁니까.” 지난달 초 무역협회가 주최한 개성공단 시찰행사에 참여했던 중소기업 사장들은 개성공단관리위원회의 브리핑이 끝난 후 이 같은 질문을 쏟아냈다. 질문의 골자는 대부분 “정치적 상황에 따라 개성공단 입주 기업들도 영향을 받을 수 있는 것 아니냐”는 것들이었다. 시계 제조 업체인 로만손 등 시범단지 입주 기업을 둘러본 한 중소기업 사장은 개성공단에서 사업을 할 의향이 있냐는 기자 질문에 “임금 등을 따지면 중국으로 갈 필요가 없을 정도로 좋긴 한데 솔직히 좀 불안하다. 언제 어떻게 달라질지 모르니”라며 말끝을 흐렸다. 지난 90년대 초반 몇몇 대기업에서 시작된 남북한 경협은 2000년 열렸던 1차 정상회담의 결실인 개성공단 개발로 본격화되기 시작했다. 현재 39개 업체가 제품을 생산중이며 필지 분양이 끝난 135개 필지 앞으로 200여개 업체가 들어올 것으로 예상된다. 대북사업은 하지만 기업들에 개성공단에서 만난 중소기업 사장들처럼 첫인상이 밝지 만은 않았다. 당장 내일의 상황을 예측할 수 없는 한반도의 미묘한 정세는 남과 북의 강점들을 결합해 시너지 효과를 기대해 보려는 기업들의 결정을 뒤로 미루게 해왔다. 7년만에 이뤄진 이번 정상회담을 통해 남북한은 4일 ‘남북관계발전과 평화번영을 위한 선언’을 통해 “남과 북은 경제협력을 위한 투자를 장려하고 기반시설 확충과 자원개발을 적극 추진한다”는 데 합의했다. 선언문에는 경제특구건설이나 북한측 항로의 활용, 철도 화물 수송 등 구체적인 내용까지 담겼다. 7년 전 첫걸음을 뗀 남북 경협이 이제야 비로소 속도를 내는 것인가 하는 기대감을 갖게 한다. 남북 경협의 상징이 될 개성공단은 8.25㎢(250만평) 규모의 2단계 사업 추진을 앞두고 있다. 앞으로 10년쯤 후 수백여개의 우리 기업들이 북한에 조성된 공단에서 아무런 근심 없이 경쟁력 높은 제품을 생산하고 있을까. 관건은 남북 양측이 정치적 불안정에 대한 의구심을 얼마나 깔끔하게 없애주느냐에 달렸다. 기업인들의 바람뿐 아니라 기자 개인의 바람이기도 하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