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BIZ 플러스 영남] 한글학자 외솔 최현배 유품 고향으로

외솔회등 기념관 개관 앞두고 1만여점 울산시 전달

외솔 최현배 선생의 유품과 관련 자료 등 1만여 점이 10일 울산시에 전달됐다. 사진은 '우리말본' '한글갈' 등 선생의 대표 저서와 주시경 선생으로부터 받은 졸업장.

울산 출신 한글학자 외솔 최현배(1894~1970) 선생의 기념관 개관을 두 달여 앞두고 선생의 유품과 관련자료 1만여점이 고향으로 돌아왔다. 외솔회와 한글학회, 세종대왕기념사업회 등은 선생의 저서와 친필 원고, 기고문, 타자기 등 유품과 한글 연구 관련 서적을 포함한 일반 자료 등 190여박스(1만여점)를 지난 10일 울산시에 전달했다. 주요 유품은 '우리말본', '한글갈', '조선민족갱생의 도' 등 선생의 주요 저서와 주시경 선생으로부터 받은 졸업장, 신문ㆍ잡지 기고문, 생전 선생이 쓰던 타자기와 책상, 지팡이 등이다. 이번에 전달된 유품과 자료는 올해 10월19일(외솔 선생 생일) 문을 여는 외솔 선생 기념관에 전시된다. 시는 선생의 친필 원고를 비롯해 보존가치가 높은 30여건은 영인본으로 만들어 보관할 계획이다. 울산시 관계자는 "이번에 전달되는 유품과 자료는 그간 선생과 관련해 수집된 물품의 90% 이상을 차지할 만큼 많은 양"이라며 "이 자료로 한글학자이자 교육자, 독립운동가였던 선생의 자취를 직접 확인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1894년 울산에서 태어난 외솔 최현배 선생은 일제 강점기 조선어학회를 창립하고 '한글맞춤법 통일안'을 만드는 등 우리말 보급과 교육에 힘쓰다 1942년 '조선어학회 사건'으로 옥고를 치르기도 했다. 시는 선생의 생가가 있던 중구 동동 613번지 3,645㎡ 일대에서 생가 복원과 기념관 건립공사를 지난해 3월 시작, 이 가운데 생가 3개 동의 복원을 지난해 9월 끝냈다. 지하 1층ㆍ지상 1층 규모의 기념관은 올해 9월 말께 준공할 예정이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