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민노당 "정당 노조 만들기 힘드네"

"자기밥그릇 챙기기" 당내 반발로 좌초위기

‘노조 하나 만들기 정말 힘드네.’ 노동자ㆍ서민의 정당을 표방하고 있는 민주노동당에서도 노동조합을 만들기는 그리 쉽지않은 게 현실이다. 한때 민노당내 일부 당직자를 중심으로 추진됐던 노조 설립 움직임이 당내 반발에 부딪혀 결국 좌절될 가능성이 높아졌다. 최근 민노당 일각에서는 원내 진출로 재정상태가 좋아진 만큼 처우 개선 등의 문제를 본격적으로 해결하기 위해 노조를 설립해야 한다고 주장해왔다. 그러나 다른 편에서는“노동자 보호를 위해 열악한 대우를 감수하고 일해왔던 사람들이 이제 와서 자기 밥그릇 챙기는 거냐”는 거센 반론을 제기했다. 이에 따라 중앙당 상근직 당직자들은 최근 ‘상조회’를 열고 노조설립의 공론화 여부를 진지하게 논의한 결과, 명분론이 우세를 점하면서 일단 ‘공론화 불가’쪽으로 결론을 내린 것으로 전해졌다. 김성희 부대변인은 “당직자들의 처우 개선이 시급하긴 하지만 다른 수단을 거쳐서도 충분히 실현될 수 있는 문제”라며 “우선 의사결정 민주화 같은 중대한 문제들을 공론화시키는 게 바람직하다는 데 의견을 모았다”고 말했다. 민주노총 등 노조를 기반으로 성장한 게 민노당이지만 정작 당내 노조 설립은 당직자들 스스로 거부한 셈이 됐다. 이에 따라 국내 최초의 ‘정당 노조’ 탄생여부를 놓고 관심을 끌었던 민노당 노조 결성은 단순한 해프닝으로 마무리될 것으로 보인다. 현재 민노당 당직자들은 활동비 명목으로 월 70만원 안팎을 받고 있지만 4ㆍ15 총선 이후 처우 개선에 대한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어 새로 출범할 당 지도부의 대응이 주목된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