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사내칼럼

[기자의 눈] 지상파DMB 유료화 논란

이상훈 기자<문화레저부>

최근 이통통신업체 관계자들은 지상파DMB와 관련된 자리에만 참석하면 “월 4,000원”이라는 말을 마법의 주문처럼 입에 달고 다닌다. 애초 무료서비스 개념으로 출발한 지상파 디지털멀티미디어방송(DMB) 유료화 논란을 불러일으킨 장본인들이다. 최근에는 “월 4,000원도 사실은 손해 보는 금액”이라며 선심 쓰는 듯한 발언도 서슴지 않는다. 사업자 선정을 준비 중인 지상파 방송사들까지 최근 들어 “주문형 서비스나 데이터 방송은 부분적 유료화를 도입할 수 있다”고 말하고 있다. 이통통신사들은 지하철이나 빌딩 등 지상파 수신이 어려운 지역 곳곳에 중계기를 필수적으로 깔아야 하기 때문이라고 한다. 또 지상파DMB의 조기 보급을 위해서는 휴대폰 서비스를 뛰어넘는 판촉과 마케팅이 필요하다고 강조한다. 게다가 지상파DMB가 여러 데이터방송 채널을 갖춘 만큼 이동통신사들이 실시 중인 현재의 유료 데이터 정보 서비스의 고객들이 아이러니하게 자신들이 서비스하는 DMB로 빠져나갈 것이라고 주장한다. 그러나 이러한 이통사들의 일련의 주장들은 결코 지상파DMB의 유료화 주장의 근거가 될 수 없다. 지상파DMB의 도입 배경이나 국민 재산인 전파의 공공성 논리는 둘째치더라도, 이통사들은 엄연한 방송인 지상파DMB 서비스를 ‘방ㆍ통 융합’ 논리로 포장해 또 하나의 휴대폰 부가서비스로밖에 생각하지 못하는 것이다. 물론 방송의 공공ㆍ공익성만을 내세워 이통사들의 마케팅 수단으로 쓰이는 걸 말리는 것은 아니다. 그러나 어디까지나 자신들의 수익 창출을 위한 서비스를 시작하는 데 초기 투자조차 않겠다는 발상은 앞뒤가 맞지 않는다. 지상파DMB의 중계기 설치와 마케팅 비용에 들어가는 비용은 이통사들 자체 추산으로도 500억원 수준이다. 그만큼의 투자도 아까워한다면 이제까지의 휴대전화 사업은 어떻게 해온 것인가. 유료화 논란 속에서 소극적인 자세로 일관하고 있는 방송사들도 자세를 달리해야 한다. 사실 전파를 시청자들에게 직접 닿게 하는 근본적인 역할은 플랫폼 사업자인 각 방송사들의 몫이다. 물론 중계기 투자에 있어 이통사들의 노하우는 필요하지만 매년 수백억원의 흑자를 내는 지상파 방송사라면 분명 시청자들의 볼 권리를 위해서나 자신들의 광고 수익 극대화를 위해서나 마땅히 해야 하는 기본이다. 국민의 기본권인 지상파방송 시청권은 지상파DMB에서 역시 예외가 없다는 점을 되새겨봐야 한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