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특권층의 분열과 해체

기고를 시작한지 벌써 약속된 두 달이 훌쩍 지나 이번이 마지막 컬럼이다. 수요일이 왜 그리도 빨리 오는지. 처음 생각으로는 독자들이 편하게 읽을 수 있는 주제로 글을 쓸 생각이었다. 그러나 그 동안 여당의 분당, 대통령 측근비리와 재신임, 제1당의 대선자금 등 메가톤급 정치 이슈가 연달아 터지는 이유로 정치에 대해서도 몇 차례 쓴 것 같다. 하지만 정치 얘기가 나온 김에 이번에도 할 말은 해야겠다. 3공에서 6공 인사 또 과거 야당과 재야인사들까지 혼재돼 있는 정치세력이 현 거대야당이다. 꾸역꾸역 많이도 모였다. 이런 거대야당의 대선자금 불법모금과 사용문제로 온 나라가 떠들썩하다. 내부 갈등양상으로까지 치닫고 있다. 제1당 대표가 자당의 불법 대선자금과 관련해 대국민 사과를 했다. 그러나 사족이 달렸다. 갑자기 검찰수사를 믿을 수 없다며 강경 투쟁을 선언했다. 거대 제1당으로서 그 동안 요긴하게 써오던 `특검제`라는 `전가(傳家)의 보도(寶刀)`를 꺼내들은 것이다. 급하긴 급했나 보다. `당권접수`와 `정치적 위기 탈출`이라는 `양수겸장(兩手兼將)`의 포석이겠지만 뭔가 자신의 묘혈을 파는 느낌까지도 드는 이유가 무엇일까. 지난 두 차례의 대선은 우리 국민들에게 많은 것을 일깨워 주었다. 한 번도 이뤄보지 못한 정권교체를 했고, 국민참여를 통해 의식과 철학이 대단히 평범한 대통령을 만들어 냈다. 우리 스스로도 놀랄 만큼 과거부터 이어져 내려오던 비상식과 잘못된 관행을 일거에 깨뜨렸다. 이제 우리 국민들은 지역감정을 선동하거나 색깔론을 유포하는 정치인이나 정치세력에 흔들리지 않는다. 스스로 평가하고 사고하며 과오를 지적해내는 선진국가의 합리적인 사회의 시민이 되었음을 그들은 간과한 것이다. 반면에 호위호식 하던 기득권층들이 어떤 생활을 영위해왔었는지도 단적으로 보여주기도 했다. 병역기피와 원정출산 그리고 호화빌라의 실상이 세상 밖으로 나오게 하는 계기가 되었다. 아직도 잠시 권력을 빼앗겼다며 과거 권력의 향수를 못 잊고 있는 그들이다. 수 십년간 무소불위의 권력을 휘두르며 기득권을 유지해 오던 그들이다. 그러나 지금은 자기들 뜻에 따라 움직여 주는 세상이 아니다. 기득권을 지탱해 줘오던 지역주의라는 우산도 사라지고 있다. 기득권 유지를 위해 철옹성과도 같은 단결력을 보여주던 한줌도 안되는 특권계층이 분열과 해체의 길을 걷고 있다. <문석호(국회의원ㆍ우리당) >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